이육사 시인의 외동딸 이옥비 여사
종암동에 이육사 기리는 문화공간 마련“특별한 해 아니어도 아버지 기억해 주길”
포승줄 묶인 아버지 모습이 마지막 기억
4살이었던 나에게 ‘다녀오마’ 하고 떠나
돌아가신 어머니 삶도 책으로 남길 계획
이육사 시인의 딸 이옥비 여사가 21일 서울 성북구 종암동 ‘문화공간 이육사’ 앞에 놓여 있는 이육사 기념비 옆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왼쪽 조형물엔 이육사 시인이 생전 종암동에서 발표한 것으로 알려진 시 ‘청포도’가 적혀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독립운동가이자 민족 시인인 이육사(1904~1944) 시인의 하나 남은 혈육, 이옥비(79) 여사를 서울 성북구 종암동 ‘문화공간 이육사’에서 21일 만났다.
종암동은 이육사 시인이 1939년부터 거주하던 곳이자 대표작 중 하나인 ‘청포도’를 발표한 곳이기도 하다. 지난해 12월 17일 이곳에 이육사 시인을 기리는 작은 공간인 문화공간 이육사가 문을 열었다.
이 여사는 “크고 작고를 떠나 서울에 아버지를 기억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것이 자랑스럽다”며 “공간이 작다고 아버지 (위상이) 낮아지는 것도 아니고 아버지의 정신을 여러 사람에게 알리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공간을 마련해 준 사람들에게 감사함을 전했다. 그는 “종암동 외에 다른 곳에도 부탁을 했는데 아무런 대답이 없던 곳도 있었다”며 “초반의 어려움을 딛고 공간이 생긴 만큼 학생 등 많은 젊은이가 이곳에서 아버지의 정신을 이야기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옥비’(沃非)라는 이름은 이육사 시인이 직접 지었다고 한다. 예쁜 이름이지만 뜻을 보면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한다. 이 여사는 “기름지게 살지 말라는 뜻”이라며 “욕심 없이 배려할 수 있는 사람이 되라는 아버지의 마음이 들어 있는 이름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육사 시인은 이 여사가 4살 되던 해인 1944년 1월 16일 중국 베이징 감옥에서 옥사했다. 이 여사가 기억하는 아버지 이육사는 어떤 모습일까. 그는 “청량리역 동대문경찰서에서 포승줄에 묶여 밀짚으로 된 용수를 쓰고 계신 모습이 기억하는 마지막 모습”이라며 “어렸던 나에게는 엄청 충격적인 모습이었다”고 기억했다. 이어 “나중에 들은 이야기지만 아버지가 마지막으로 ‘아버지 다녀오마’ 이렇게 내게 말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여사는 “저희 어머니는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틈만 나면 들려주셨다”며 “그땐 그 이야기가 듣기 싫었는데, 지금 돌이켜 생각해 보니 어머니가 아버지 이야기를 해 주지 않았다면, 지금 아버지를 궁금해하는 사람들에게 전해 줄 이야기가 없었을 뻔했다”고 밝혔다.
지난해는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었던 만큼 이 여사는 평소보다 훨씬 바쁜 한 해를 보냈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독립 순국선열의 자손 중 다수는 이미 사망하고 고령으로 건강이 좋지 않다 보니 상대적으로 나이가 적은 저를 이곳저곳에서 불러 주셔서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할 기회가 많았다”면서도 “특별한 해, 특별한 기념이 아니더라도 언제나 같은 마음으로 찾아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쉼 없이 달려온 이 여사는 올해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을까. 그는 “잊혀져 가는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끄집어내 부족한 글솜씨나마 남겨 놓고 싶다”며 “아버지의 삶과 더불어 어머니의 특별했던 삶도 책으로 남길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20-01-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