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방역 불복’… 전문가 긴급 제언
새해 밝아도… 인력시장 고단한 출근길
신축년 새해 첫 출근일인 4일 새벽부터 서울 구로구 남구로역 인근 인력시장에서 일용직 노동자들이 일감을 구하기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일용직 노동자 일자리가 크게 감소하는 등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뉴스1
뉴스1
이영문 국립정신건강센터장은 4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자살은 되레 약간의 회복 기미가 있을 때 발생한다”며 “코로나19 충격파가 가장 컸던 지난해보다 회복기에 들어설 올해 자살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자살 예방 상담전화(1393) 통화건수는 2019년 8월 6468건에서 지난해 8월 1만 7012건으로 1년 새 2.6배 늘었고,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은 2018년 4.7%에서 지난해 5월과 9월 10.1%와 13.8%로 각각 급증했다.
통상 재난 초기에는 ‘맞서서 잘 이겨내자’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다 같이 어려우니 상대적 박탈감도 덜하다. 그러나 코로나19 2년째에 접어들며 경제가 조금씩 회복될 때 자신만 제자리라면 가까스로 지켜오던 심리적 방어선이 무너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에 고소득층인 소득 4~5분위 가구의 근로·사업소득은 전년 같은 달보다 3.6~4.4% 감소하는 데 그친 반면 저소득층인 1분위 가구 소득은 17.2%나 감소하는 등 격차가 확대됐다. 코로나19의 충격이 저소득층에 집중돼 양극화가 고착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저소득층의 회복이 더딜 수밖에 없다.
우석훈 성결대 교수는 핀셋 심리방역을 해야 할 위험 계층으로 ‘20대·여성·장기실직·1인가구’를 꼽았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0’을 보면 코로나19로 고용이 가장 크게 감소한 계층은 여성, 20대 이하, 임시직 근로자였다. 우 교수는 “고립과 실직 등 정신건강 위험 요소가 겹친다면 자살이 증가하는 등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도 지난해 말 ‘코로나19 대응 자살예방 강화대책’을 마련했다. 염민섭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정신건강 지원 인력을 늘리고 영상상담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심층상담이 필요한 분들도 발굴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하려면 자영업자에 대한 심리방역에도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역 불복 등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생존권이 위협받는 상황이 계속되면 극단적 선택 등 또 다른 비극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정부가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재난지원금을 지급할 때 심리지원도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를 적극 연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1-01-0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