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사재기 극성

투기·사재기 극성

입력 2011-02-07 00:00
업데이트 2011-02-0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유 비상업용 순매수 급증…아랍권 등 곡물 비축량 늘려

원자재와 곡물의 국제거래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는 가운데 투기에 사재기까지 겹쳐 국내 물가 불안이 가중될 전망이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원유의 비상업용 순매수 포지션이 지난달 11일 약 22만 7000건 성사돼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5년 이후 가장 많았다. 순매수 포지션은 선물옵션 거래의 하나로, 미래에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투자하는 상품이다. 특히 실수요에 바탕을 두지 않는 비상업용 순매수 포지션이 클수록 헤지펀드를 중심으로 한 국제시장의 투기성 자금이 많이 유입된다.

경기 회복에 따른 실수요에 이런 투기적 수요까지 가세, 두바이유는 지난달 배럴당 94달러를 넘었고 북해산 브렌트유는 2008년 9월 이후 처음으로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았다. 지난달 구리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니켈과 주석도 각각 10% 넘게 올랐다.

곡물 중에서는 밀의 비상업용 순매수 포지션이 지난달 25일에 3만 5000건이 계약돼 2007년 8월 14일의 3만 8000건 계약 이후 3년 5개월 만에 최대 계약건수를 기록했다. 지난해 9월 28일 45만 8000건 계약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옥수수 비상업용 순매수 포지션은 같은 해 11월 30일 계약건수가 36만 4000건으로 다소 안정되는 듯했으나 지난달 25일 41만 4000건으로 다시 늘었다.

최근에는 원자재와 곡물 물량 확보를 명목으로 한 사재기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식품가격 상승에다 ‘춘제(春節) 수요’가 겹친 중국에서는 농산물 사재기가 극성을 부려 당국이 단속에 나섰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알제리 등 밀 소비가 많은 아랍권에서는 정부가 나서 비축량을 늘리고 있다고 국제금융센터는 전했다.

원자재와 곡물 등 주요품목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생각이 막연한 공포심을 유발해 가격을 더 뛰게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달 27일 이러한 현상을 공황 상태에서 마구잡이로 물량 확보전을 벌인다는 뜻의 ‘패닉 바잉’(panic buying)으로 표현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02-07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