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공개 공모가 ‘뻥튀기’ 심하다

기업공개 공모가 ‘뻥튀기’ 심하다

입력 2011-02-09 00:00
업데이트 2011-02-09 1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업공개(IPO)를 주관하는 증권사들이 추정 실적을 부풀리고 공모가를 시장기준 이상으로 높게 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2008년 1월부터 2009년 말까지 IPO를 한 104개사(18개 주관사)의 공모주식 가치평가에 대한 실태를 분석한 결과,이같이 드러났다고 9일 밝혔다.

 이 분석에 따르면 가치평가를 하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PER(주가수익비율) 방식’을 채택한 92개 주관사가 적용한 PER 평균은 13.1배로 시장 기준(미국 MSCI KOREA PER 10.9배)보다 19.8%나 높았다.

 44개 주관사는 기업의 미래 수익도 실제 실적에 비해 평균 22.4%나 높게 추정해 평가에 사용했다.

 상장 이후 주가 흐름에서도 시장 기준보다 높은 PER를 적용한 52개사의 한 달 후 수익률은 5.0%에 불과해 전체 평균치 13.6%의 절반을 밑돌았다.

 반면,시장 기준보다 낮은 PER를 적용한 회사는 평균치의 두 배에 가까운 24.6%의 수익률을 나타냈다.

 이같은 분석 결과는 주관사들의 ‘뻥튀기’ 가치평가로 인해 신규 상장주 공모가가 실제보다 높은 수준으로 책정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IPO 주관사들이 가치평가 시 채택한 시장 기준,사용기준,특정 기준 채택 사유 등 공모가 산정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투명하게 밝히도록 관련 공시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2008년 1월부터 지난해 9월 사이 상장된 142개사 공모물량(13조6천억원 규모)의 64.7%가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됐으며,이들은 배정물량의 34.2%를 상장 첫날에,48.0%를 4주 이내에 처분하는 등 단기 매도 성향을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은 이와 관련해서도 금융투자협회 등을 통해 중장기 투자성향 기관투자자 위주로 물량을 배정하도록 유도하고,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에 대한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