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생물고등어 ‘귀하신 몸’

국산 생물고등어 ‘귀하신 몸’

입력 2011-02-17 00:00
업데이트 2011-02-17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도 중소도시에 사는 주부 장모(44)씨는 올 겨울 들어 고등어조림을 만들지 않는다. 가족들이 좋아하는 음식이긴 하지만, 조림을 하기에 알맞은 최소한 중간 정도 고등어 한 마리에 4000~5000원을 주고 여기에 무까지 사려면 반찬 하나 마련에 5000원 이상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장씨는 16일 “오늘 시장에서 물이 좋은 고등어가 있어 물어 보니 8000원을 부르더라.”며 고개를 저었다.

이미지 확대
대신 장씨는 간고등어나 수입산 냉동 고등어를 굽는다. 추가 양념 등이 필요없다 보니 한 마리당 1000~2000원에 해결할 수 있어 부담이 적기 때문이다.

생물 고등어가 식탁에서 사라지고 있다. 고등어는 대표적 난류성 회유 어종으로 가을에 서해로 올라왔다가 겨울을 보낸 뒤 제주도 남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번 겨울에 수온이 낮아지면서 고등어 떼가 남쪽에서 늦게 올라왔고, 빨리 남쪽으로 내려갔다. 태풍 곤파스, 말로 등 기상악화로 조업일수도 줄었다. 그 결과 잡힌 고등어의 양이 줄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고등어는 전국적으로 9만 9534t이 잡혔다. 전년(17만 5326t)의 절반 수준이다. 대신 출하가격은 지난해 ㎏당 1761원으로 전년(15 99원/㎏)보다 10.1% 올랐다. 어획량이 줄어든 것에 비하면 출하가격 인상폭은 좁은 편이다.

비싼 고등어값에 생물 수요가 다소 줄어든 것도 한몫 했지만 고등어값 인상을 막기 위해 지난해부터 수입품에 적용된 할당관세 적용이 올해도 계속됐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해 1만t의 냉동 고등어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했고 올해는 수입 전량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생물 고등어는 당분간은 구경하기가 힘들 전망이다.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고등어(중품) ㎏당 도매가격은 3620원으로 전년(3263원/㎏)보다 10.9% 올랐다. 그러나 올해 1월은 4244원, 2월은 4371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36.8%, 36.5% 올랐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02-17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