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의 힘’… 국민소득 3만弗 보인다

‘평창의 힘’… 국민소득 3만弗 보인다

입력 2011-07-08 00:00
업데이트 2011-07-08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 4조원 경제효과·3만명 일자리창출 예상…강원랜드·삼양식품·IB스포츠 등 수혜주 될 듯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가 확정되면서 ‘2018년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진입’에 대한 희망찬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경제적 이익과 고용 유발 효과와 더불어 3만 달러 진입에 필수적인 국가브랜드 가치의 신장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위해 ‘적자 올림픽’을 경계하고, 동계스포츠를 생활스포츠로 육성해 지속적인 경제효과를 창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미지 확대


7일 강원도가 산업연구원에 의뢰한 ‘평창동계올림픽 타당성 보고서’에 따르면 평창올림픽의 경제적 효과는 이미 시작됐다.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올림픽 추진 과정에서 1조 5629억원의 경제적 효과와 1만 1066명의 고용유발효과가 있었다.

올해와 내년에는 각각 3조 46억원, 4조 1954억원의 경제적 효과와 2만 911명, 2만 9300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대회가 열리는 2018년에는 6조 5929억원의 경제적 효과, 7만 337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예측된다. 총 20조여원의 경제효과와 23만여명의 고용창출효과가 기대되는 셈이다.

‘3만 달러의 조건’이라 불리는 국가브랜드 가치는 상상할 수 없는 부가가치 창출이 예상된다. 박태일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2002년 월드컵 이후 겨울연가가 수출되고 국제영화제를 휩쓸며, 박지성이 해외에 진출한 현상들이 지금의 K팝 열풍, 기업 수출 호조세 등으로 연결된 것”이라면서 “평창올림픽을 통해 3만 달러 시대에 필요한 무형의 브랜드 인프라가 구축되고 예상조차 할 수 없는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말했다.

고용 없는 성장, 고물가와 중소기업의 경기 침체 등으로 고통받는 우리나라 경제에도 탈출구가 될 전망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국가적 축제의 경우 경제적 효과와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음에도 물가를 크게 부추기지 않는 점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금융가도 들썩인다. 대표적인 ‘평창 수혜주’는 강원랜드다. 카지노 시설의 증설 허가나 강원랜드가 보유한 호텔, 골프, 스키장 및 리조트 등의 입장객이 증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대관령 목장 부지 300만여㎡를 보유한 삼양식품도 목장 부지를 레저시설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에 평창 수혜주로 분류된다.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 국제 스포츠대회 운영시스템을 구축한 경험이 있는 쌍용정보통신과 동계스포츠 이벤트 확대 기대감을 받은 IB스포츠까지도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이나 캐나다 밴쿠버 동계 올림픽같이 적자 올림픽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특히 88올림픽 잠실운동장의 상황을 고려해 경기장 등 부대시설의 사후 활용 방안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동훈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과잉투자를 경계해 일본, 캐나다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면서 “동계스포츠가 선진국형 스포츠라는 점에서 생활스포츠로 육성해 꾸준한 경제유발효과를 창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주·오달란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7-08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