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잡는 MRO 전관예우

中企 잡는 MRO 전관예우

입력 2011-07-11 00:00
업데이트 2011-07-11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기업 구매대행업체 임원에 재정·지경부·중기청 출신 기용

대·중소기업 상생 정책을 주관하는 지식경제부, 기획재정부, 중소기업청 출신 전직 고위 공직자들이 대기업 산하 소모성 자재 구매 대행(MRO) 기업에 대거 포진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와 정치권이 최근 대기업의 MRO 시장 진입을 규제하고 중소기업을 보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기업들이 전관예우를 통해 방어막을 형성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MRO는 필기구, 복사용지, 청소 도구 등과 같은 사무용품과 공구를 조달하는 사업으로, 대기업 MRO 업체들은 같은 계열사들의 ‘몰아주기’ 덕택에 시장을 장악했고 기존 중소기업은 폐업 위기에 몰렸다.

서울신문은 10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강창일 의원실과 함께 주요 대기업 산하의 MRO 업체에 등재된 정부 고위직 출신 임원들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코오롱그룹 계열사인 코리아e플랫폼은 대표이사, 사외이사, 감사 등 주요 임원이 지식경제부, 기획재정부, 중소기업청 출신 공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리아e플랫폼 이우석 대표는 산업자원부(현 지경부) 지역협력과장 출신으로 2000년 8월 공직에서 물러난 이후 현재까지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조원동 사외이사는 재정경제부(현 재정부) 차관보와 차관급인 국무총리실 사무차장 등을 거쳤다. 김영학 사외이사는 지경부 산업경제실장을 거쳐 제2차관을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났고, 신동오 감사는 중소기업청 차장 출신이다. 삼성그룹 계열사인 아이마켓코리아도 6월 30일 중소기업청 차장을 지낸 송재희씨를 사외이사로 앉혔으며, 지난해 5월에는 감사원 과장 출신인 이수성씨를 감사로 선임했다.

대기업 계열 MRO 기업들은 “대·중소기업 상생을 실현하기 위해 이 분야에 밝은 전직 공직자들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관련 부처 출신 사외이사들의 인맥과 경험을 활용해 정부의 조사 및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강창일 의원은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기업 MRO 계열사에 대한 면밀한 조사, 분석을 통해 부당한 거래 강제와 납품 단가 인하 등 위법 사실이 밝혀지면 엄정하게 처벌하겠다고 밝혔다.”면서 “그러나 과연 중앙 부처 출신 고위 공직자가 사외이사와 감사로 재직 중인 기업을 공정위가 제대로 조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용어 클릭]

●소모성 자재 구매 대행(MRO) 공구와 베어링, 사무용품 등 기업 활동에 들어가는 소모성 자재의 구매를 대행해 주는 사업이다. 전통적으로 중소 유통상인의 영역이었으나 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최근 대기업이 뛰어들면서 연간 20조원대 시장의 열매를 대기업이 챙기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2011-07-11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