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기업 57% “고령근로자 고용연장책 시행”

제조기업 57% “고령근로자 고용연장책 시행”

입력 2011-07-18 00:00
업데이트 2011-07-18 1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상의, 업체 407곳 조사

고령화 시대를 맞아 제조업체 근로자의 평균 연령이 높아지는 가운데 절반 이상의 제조업체가 고령 근로자의 고용연장을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제조업체 407곳을 조사한 결과 퇴직 후 재고용과 정년연장 등 고용연장 방안을 도입한 기업이 전체의 57%였다고 18일 밝혔다.

’조만간 고용대책을 마련한다’와 ‘계획이 없다’는 기업은 각각 22.4%, 20.6%로 집계됐다.

제조업체가 시행하는 고용연장 방안으로는 퇴직 후 1~2년 단위 계약직으로 일하는 ‘퇴직 후 재고용’이 39.1%로 가장 많았다.

일정 연령부터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정년을 연장하는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9.1%)와 임금삭감 없이 정년 자체를 늦추거나(9.1%) 없애는(9.1%) 방안도 같은 비율로 뒤를 이었다.

제조업체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39.7세였으며, 대기업(39.4세)과 중소기업(39.8세)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큰 차이가 없었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5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1980년 28.8세에서 1990년 32.6세, 2000년 36.2세, 2010년 39.0세로 급격히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근로자 고령화 원인으로 대기업은 ‘기존 인력의 고용조정 곤란’(34.4%)과 ‘신규채용 감소’(23.8%)를, 중소기업의 경우 ‘생산직·중소기업 기피로 신규채용 곤란’(29.8%)과 ‘젊은 직원의 이직’(22.1%)을 많이 꼽았다.

상당수 기업은 근로자의 고령화로 ‘아직까지 특별한 어려움은 없다’(77.9%)고 답했지만, 응답기업의 68.6%는 고령 근로자의 대량 퇴직으로 이미 인력난을 겪고 있거나(5.3%) 늦어도 10년 내 인력난을 겪을 것(63.3%)으로 우려했다.

고령화가 우려되는 직종으로는 생산직(84.3%)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사무·관리직(9.1%), 연구·개발직(3.7%), 영업·서비스직(2.9%) 순이었다.

기업들은 근로자 고령화와 관련한 정부대책으로 생산직·중소기업 청년취업자 지원 강화(44.4%), 재직근로자에 대한 고용보호규제 완화(17.7%), 생산·기능인력 양성 강화(16.7%), 연공급 임금제도 개선(13.5%) 등을 기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