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名품, 虛풍] 中 명품소비자 73%가 45세 미만… 거리낌없이 지갑 여는 신흥부자들

[名품, 虛풍] 中 명품소비자 73%가 45세 미만… 거리낌없이 지갑 여는 신흥부자들

입력 2011-07-23 00:00
업데이트 2011-07-23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명품에 몸 던지는 中… 몸 사리는 美·日

핸드백의 ‘여왕’이라고 불리는 샤넬 클래식 캐비어 미디엄. 서울에서 579만원인 이 제품은 베이징에서는 556만원(3만 4000위안), 도쿄에서는 523만원(39만 900엔), 워싱턴에선 426만원(3998달러)에 팔린다. 또 다른 명품 핸드백 루이뷔통 모노그램 캔버스 스피디31(스트랩 포함)은 서울 롯데백화점에서 107만 5000원에 팔리고 있지만, 베이징의 럭셔리백화점 신광톈디(新光天地)에서는 이보다 30% 정도 비싼 141만원(8650위안)에도 불티나게 나간다.

이미지 확대
22일 서울 시내 명품 브랜드 매장 앞을 한 여성이 지나가고 있다. 지난 1일 한·EU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돼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폐지됐음에도 해당 브랜드는 오히려 제품 가격을 올렸다가 한국 소비자들을 우롱한다는 비난이 일자 가격을 낮췄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22일 서울 시내 명품 브랜드 매장 앞을 한 여성이 지나가고 있다. 지난 1일 한·EU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돼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폐지됐음에도 해당 브랜드는 오히려 제품 가격을 올렸다가 한국 소비자들을 우롱한다는 비난이 일자 가격을 낮췄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관세와 부가세가 한국보다 각각 5% 포인트 이상 높아 중국의 명품 가격이 대체로 한국보다 10~20% 비싸지만, 중국 부자들은 거리낌없이 지갑을 연다. 세계 명품시장에서 중국의 성장세는 독보적이다. 매년 25% 이상 급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4200달러. 한해 동안 땀흘려 벌어도 샤넬 클래식캐비어 미디엄 핸드백을 한 개 구입하면 끝이다. 하지만 1인당 국민소득 기준으로 한국의 5분의1, 미국과 일본의 10분의1에 불과한 중국은 지난해 94억 달러어치의 명품 시장을 만들어 냈다. 중국사회과학원이 최근 발간한 ‘상업백서’는 지난해 중국 명품 시장 규모가 전 세계 시장의 25%로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2위로 올라섰다고 밝혔다. 지난해 4분기 버버리의 중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 늘었다. 중국의 명품 소비자들은 급속한 경제성장 덕에 부를 거머쥔 45세 미만의 신흥부자들이다. 명품 소비자의 45%가 35세 미만, 73%가 45세 미만으로 미국이나 유럽보다 명품 소비층이 훨씬 젊다.

이미지 확대
롯데백화점 베이징 왕푸징(王府井)점의 안진호 명품잡화팀장은 22일 “베이징과 항저우, 상하이 등 중국의 명품 고소비 도시에서는 브랜드 간 경쟁도 치열하다.”고 말했다.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명품은 루이뷔통과 구치다. 신광톈디 등 베이징의 명품 백화점 내 이 매장들에서는 평일 오전 문을 열기도 전에 길게 줄을 선 중국인의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남성들이 적극적으로 명품 소비에 뛰어드는 것도 중국의 특징이다. 다른 나라와는 달리 비즈니스 등을 위한 ‘선물용’ 소비가 많다.

일본에서는 지난 3월 동일본 대지진 이후 명품 구입 열기가 수그러든 상태다. 미국 컨설팅업체인 매킨지가 27개 명품 브랜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본에 입주한 명품 브랜드의 3분의2는 대지진 이후 매출이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10% 이상 줄었다. 미국 브랜드인 코치가 지진 때문에 2000만 달러의 피해를 봤고, 이탈리아의 베르사체 등은 일본 시장에서 아예 철수했다.

미국 명품시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일로다. 2008년 미국의 보석·가구 매출액이 전년 대비 12% 감소했다는 통계가 있다. 명품 구매가 실용적으로 바뀌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연소득이 25만 달러 가까이 되는 20~30대 젊은층은 유럽 명품을 선호하는 중장년층과는 달리 값이 싸면서도 품질이 좋은 브랜드를 선호하는 실용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명품 연구기관인 ‘럭셔리인스티튜트의 지난달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이 선호하는 의류 명품 톱3는 구치(12%)-프라다(7%)-바나나리퍼블릭(1.5%), 핸드백은 코치(30%)-루이뷔통(12%)-구치(10%) 순이었다.

도쿄 이종락·베이징 박홍환·워싱턴 김상연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7-23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