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상담도 ‘언택트’가 대세…월 1000만원 버는 상담사도 등장

전문가 상담도 ‘언택트’가 대세…월 1000만원 버는 상담사도 등장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3-12 16:59
업데이트 2020-03-12 17: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네이버가 내놓은 비대면 전문가 상담 서비스인 ‘지식인 엑스퍼트’를 통해 지난 11일 피트니스 전문가에게 직접 ‘뱃살 관리’ 상담을 받아 보았다.  지식인 엑스퍼트 캡처
네이버가 내놓은 비대면 전문가 상담 서비스인 ‘지식인 엑스퍼트’를 통해 지난 11일 피트니스 전문가에게 직접 ‘뱃살 관리’ 상담을 받아 보았다.
 지식인 엑스퍼트 캡처
전문가 상담도 앱으로 가능한 시대

“뱃살이 신경쓰여요. 홈트레이닝 계획을 짜 볼 수 있을까요.”

 12일 비대면 전문가 상담 서비스인 ‘지식인 엑스퍼트’에 접속해 피트니스(운동) 분야 전문가에게 던진 질문이었다. “코로나19 사태 때문에 평소에 하던 수영을 자제 중”이라고 덧붙이자 상담사는 운동보조기구인 ‘폼롤러’를 이용한 홈트레이닝 운동법을 알려줬다. 몇 달 전 해봤던 체성분 분석표를 사진으로 찍어 보내자 “저녁 한 끼는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먹어라”고 조언했다. 10분으로 정한 상담시간이 끝났다는 문구가 뜨자 전문가는 “이메일로 폼롤러 운동법을 보낼테니 인쇄해서 붙여 놓고 따라 하라”며 상담을 마쳤다.

 전문가 상담에서도 ‘언택트’(비대면)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자기가 원하는 분야의 전문가를 선택한 뒤 메신저나 영상 등으로 상담을 받는 서비스가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11월 출시된 네이버의 ‘지식인 엑스퍼트’는 코로나19 사태로 ‘언택트 소비’가 늘어난 것과 맞물려 3개월 만에 약 4만건의 상담이 진행됐다. 지난 1월 대비 2월의 전체 상담건수가 87.6% 증가했고 12가지 상담 분야 중에 영양·식단(1398%), 마음상담(370%), 피트니스(155.9%)가 두드러지게 늘었다. 이용자가 상담료로 지불한 금액 중 네이버페이에서 결제 수수료로 5.5%를 갖고 나머지는 상담사에게 돌아가는데 월 1000만원 이상 수익을 올리는 전문가들이 벌써 여러 명 나왔다.

반려동물 관리 애플리케이션인 ‘펫닥’을 통해 한 반려인이 수의사에게 강아지 심장사상충약 복용에 대해 상담을 받은 내용.  펫닥 캡처
반려동물 관리 애플리케이션인 ‘펫닥’을 통해 한 반려인이 수의사에게 강아지 심장사상충약 복용에 대해 상담을 받은 내용.
 펫닥 캡처
 ‘지식인 엑스퍼트’ 이전에는 헬로마인드케어(심리 상담), 로톡·헬프미(법률 상담), 펫닥(반려동물 상담) 등의 업체들이 분야별로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활동자에게 암호화폐로 보상하는 ‘아하’도 지난해 출시해 세무·노무·보험 등 9개 분야에서 상담 서비스 중이다.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인 라인은 지난해 11월 ‘라인 변호사 상담’을 출시했고, 지난해 12월에는 현지 합작회사를 통해 의료 상담 서비스인 ‘라인 헬스케어’를 내놨다.

 업계 관계자는 “신경정신과 등을 직접 찾아가길 주저했던 사람들이 비대면 상담은 상대적으로 편하게 이용하는 것 같다”면서 “과거 게시판 형태의 상담 서비스인 ‘네이버 지식인’은 자신이 남긴 질문이 모두에게 공개됐는데 메신저로 개인 상담을 받으면 프라이버시도 보호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지식인 엑스퍼트’의 운동 분야 전문가인 문석기(29) 핏블리 대표는 “오프라인에서 헬스장 두 곳을 운영 중인데 온라인 상담을 받은 뒤 좋았다며 헬스장에 찾아와 등록한 사례도 있다”면서 “상담하는 입장에서도 빈 시간을 활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 사람들이 온라인 상담에 익숙해지면 이 시장이 더 커질 것 같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