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색한 공시지원금 시장 겨냥한 LG폰의 차별화 전략

인색한 공시지원금 시장 겨냥한 LG폰의 차별화 전략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3-16 19:04
업데이트 2020-03-16 19: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LG V50 ThinQ 듀얼 스크린 출시
‘LG V50 ThinQ 듀얼 스크린 출시 10일 LG전자의 첫 5G 스마트폰 ’V50 씽큐‘듀얼스크린을 출시해 LG유플러스 서울광장점에서 판매와 체험 행사를 하고 있다. 2019.5.10. 안주영기자jya@seoul.co.kr
국내에는 ‘V60’ 출시 안 하는 LG전자

최고급형 스마트폰 신제품인 ‘V60 씽큐’를 안방이 아닌 해외에서만 출시하는 LG전자의 전략이 먹힐까.

1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V60을 이달 말 북미 시장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유럽, 일본 등에서 출시할 예정이다. 국내 시장에는 V60을 내놓지 않는 대신 ‘G9 씽큐’(가칭)를 오는 5월에 출시할 계획이다. 최고급형 모델을 선호하는 국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V시리즈보다 한 단계 아래인 ‘매스 프리미엄’ 제품군인 G시리즈를 내놓으며 경쟁사인 삼성전자나 애플과 차별화하는 전략을 택했다.

LG전자가 국내 시장에서 V시리즈를 내놓지 않는 것은 올해는 지난해와 같은 고가의 공시지원금 헤택을 받을 수 없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5세대(5G) 이동통신이 처음 도입되면서 국내 통신 3사가 ‘V50 씽큐’에 최대 70만원대의 공시지원금을 쏟아부었지만 올해는 찬바람이 불고 있다. 마케팅 비용 경쟁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통신 3사는 일제히 공시지원금을 아끼고 있다. 지난 6일 정식 출시한 삼성전자의 갤럭시S20의 공시지원금은 10만~20만원대에 불과하다. 지난해 하반기 출시했지만 공시지원금의 도움을 크게 못 받은 V50S가 미적지근한 반응을 얻었던 것처럼 높은 출고가로 외면받느니 아예 합리적인 가격의 5G 스마트폰인 G9로 승부를 보겠다는 것이다.

19분기 연속 적자의 늪에 빠진 스마트폰 부분의 심폐소생을 위한 조치라는 분석도 있다. V60과 G9을 모두 국내에서 출시해 마케팅 비용을 두 배로 소비하지 말고 잘 팔릴 만한 상품을 전략적으로 내놓겠다는 것이다. 이런 기조에 맞춰 LG전자는 중가형의 Q시리즈나 보급형의 X시리즈를 중심으로 올해 전체 스마트폰 제품 중 주문자생산(ODM)·합작개발생산(JDM) 방식의 비중을 5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ODM이나 JDM을 통해 대량생산 업체에 위탁을 하면 상대적으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좋은 제품을 생산하기 유리하다. 권봉석 LG전자 사장이 “내년에 스마트폰(MC사업본부) 사업의 흑자 전환을 하겠다”고 공언한 것에 맞춰 올해는 경쟁사들과의 맞불 작전보다는 내실 있는 경영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