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심리적 안정 확산되나

전셋값 심리적 안정 확산되나

입력 2011-02-21 00:00
업데이트 2011-02-21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학수요 마무리 단계 강남·목동 상승세 주춤 전문가들 “속단은 금물”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전셋값 상승세가 다소 누그러질 전망이다. 계절적 수요가 끝나가는 데다가 전셋값 상승의 진원지인 서울 강남권과 양천구 목동의 전셋값 상승세가 한풀 꺾였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최근 전셋값 상승세는 수급 불균형이라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만큼 전셋값이 안정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은 섣부르다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2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수도권 전셋값 상승을 이끌었던 서울 대치동과 목동, 송파구 잠실동 등 인기 학군 지역의 전세수요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겨울방학을 맞아 교육여건이 좋은 곳으로 이사하려는 ‘방학 수요’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2월 하순에 접어들면서 전셋집을 찾는 사람이 거의 사라졌다는 게 서울 대치동과 개포동 일대 중개업소 관계자의 얘기이다.

개포동 K공인 관계자는 “설 연휴 전까지만 해도 그런대로 거래가 됐는데 이후에는 2∼3건밖에 없다.”고 말했다. 수요가 줄면서 대치동 청실2차 115.7㎡의 경우 지난달 평균 2억 3000만원에 달했던 전셋값이 최근 2억 1500만원까지 내렸다. 목동 7단지 72㎡형 전세는 지난달 2억 1000만원에서 1억 9000만원으로, 잠실 리센츠 109㎡형 전세는 5억원에서 4억 7000만원으로 각각 내렸다.

부동산114 조사에서도 지난 한 주(2월 13~18일) 전셋값 상승률은 서울이 0.10%로 전주와 같은 상승률을 보였고, 신도시는 0.21%로 전주(0.28%) 대비 0.07%포인트 낮아졌다.

이 같은 안정세에는 방학 수요 소진 외에도 전셋값 상승을 예견한 가수요가 진정국면에 접어든 것도 한몫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성현 가온컨설팅 대표는 “3~4월 이사를 하려는 수요자들은 이미 전셋집 계약을 마친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서서히 전셋값 안정심리가 확산되면서 상반기에는 안정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다가 노원구나 도봉구, 성북구 등지에서는 전세 수요자가 아예 집을 사버리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 역시 전셋값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하지만 전셋값 안정세를 속단하기는 이르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학군 수요가 적은 서울 강북과 경기 일대는 전세난이 아직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1번지 박원갑 연구소장은 “4월 이후 전세 시세가 떨어지더라도 7~8월 다시 전세난이 올 수 있다.”면서 “이번 전세난은 소형주택 공급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이사철마다 반복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2-21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