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옵티머스 투자금 절반 6070… “보호 대책 필요”

[단독] 옵티머스 투자금 절반 6070… “보호 대책 필요”

윤연정 기자
입력 2020-07-19 20:34
업데이트 2020-07-20 07: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모펀드 특위 “70대 이상 고령층 29%”
계약 취소 숙려제·전담 창구 도입 목소리
전 靑행정관 남편 업체로 4767억 흘러가

사기 혐의를 받고 있는 옵티머스자산운용의 펀드 투자금 중 30%는 70대 이상 노인들의 노후 자금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금융사 직원의 “안전하다”는 말을 믿고 평생 모은 돈을 투자했다가 하루아침에 투자금을 날리게 됐다.

19일 서울신문이 국회 정무위원회 미래통합당 사모펀드 비리 방지 및 피해 구제 특별위원회(사모펀드 특위)를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옵티머스펀드의 개인 투자자 판매액(2404억원) 가운데 70대 이상 노인이 투자한 돈이 697억원(29.0%)으로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657억원(27.3%), 60대 591억원(24.6%), 40대 301억원(12.5%) 순이었다. 60대와 70대를 합치면 전체의 절반이 넘는 53.6%에 달한다.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한 펀드 중 87%는 NH투자증권(2092억원)을 통해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투자증권(279억원), 한화투자증권(19억원), 케이프투자증권(14억원)에서도 고객들에게 옵티머스펀드를 판매했다.

고령층이 부실 사모펀드 피해의 직격탄을 맞은 건 증권사 지점 프라이빗뱅커(PB)들이 고객의 믿음을 담보로 판매를 적극 권유한 영향이 크다. 이 과정에서 상품의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아 불완전판매 논란도 불거졌다. 지난해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라임자산운용에 이어 옵티머스펀드까지 사모펀드 피해가 고령층에 집중되면서 고령층을 상대로 한 불완전판매를 막기 위한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모펀드 특위 소속 이영 의원은 “개인 투자자 중 60대 이상의 투자액이 절반이 넘는 만큼 PB 등이 기존 신뢰 관계를 통해 고령 고객에게 파는 불완전판매 우려가 클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권순채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 주임연구원은 “녹취 의무화, 계약서를 쓰고 나서 이틀 안에 취소할 수 있는 숙려제, 고령 투자자 전담 창구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옵티머스자산운용의 투자금 대부분은 이번 사태의 ‘키맨’으로 꼽히는 윤모(43) 변호사가 감사로 재직한 업체로 흘러들어 간 것으로 확인됐다. 사모펀드 특위 자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의 현장 감사 결과 5125억원의 펀드 자금 중 4767억원은 윤 변호사가 감사로 재직하는 4개 업체로 투입됐다. 옵티머스 이사이기도 한 윤 변호사는 지난 7일 펀드 서류 위조(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 등의 혐의로 구속됐다.

야당에서는 윤 변호사의 부인인 이모(36) 변호사가 지난해 10월부터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으로 일한 점 등을 근거로 권력형 비리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 변호사는 옵티머스 사태가 불거진 지난달 사임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제보 부탁드립니다

서울신문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금융사의 불완전 판매, 유사투자자문사의 투자 자문 행위 등을 집중 취재해 보도할 예정입니다. 고령층을 기만하는 각종 행위를 경험하셨거나 직간접적으로 모격하셨다면 제보(dynamic@seoul.co.kr) 부탁드립니다.

제보해주신 내용은 철저히 익명과 비밀에 부쳐집니다. 끝까지 취재해 보도하겠습니다.
2020-07-20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