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1분기 보낸 정유업계, 2분기도 ‘고난의 행군’ 계속

최악 1분기 보낸 정유업계, 2분기도 ‘고난의 행군’ 계속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07-29 20:54
업데이트 2020-07-30 0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분기 사상 최악의 실적을 낸 정유업계가 2분기에도 ‘고난의 행군’을 이어 갔다.

29일 SK이노베이션은 올 2분기 매출 7조 1996억원에 영업손실 439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앞서 1분기 1조 7752억원 적자라는 충격적인 실적에 비하면 많이(75%) 개선됐지만 여전히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이 영위하는 석유, 화학 등 사업 전반에서 부진한 시황이 이어지는 탓이다. 코로나19로 감소한 석유 수요 부진이 여전하고 1분기 유가 급락으로 인한 재고평가 손실도 완전히 복구하지 못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석유사업에서 4329억원의 손실을 봤다. SK이노베이션은 “중동산 원유 가격(OSP) 하락과 그에 따른 래깅효과(원유 구매 시점과 판매 시점 차이에 따른 가격 차)로 마진이 개선됐고, 재고 손실이 다소 줄어 전 분기보다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화학, 윤활유, 석유개발, 소재 사업에서는 흑자를 냈다. 다만 배터리 사업에서는 판매량이 늘었음에도 글로벌 경영 시스템 구축 등을 위한 일회성 비용이 증가하면서 전 분기보다 적자가 늘어난 1138억원의 손실을 봤다.

앞서 지난 24일 에쓰오일도 공시를 통해 영업손실 164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다. 두 회사의 손실을 합치면 604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셈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올 2분기 정유 4사의 적자 규모가 1조원에 육박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07-30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