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나가는 ‘여·조 콤비’… 잘 버는 카카오

잘나가는 ‘여·조 콤비’… 잘 버는 카카오

한재희 기자
입력 2020-11-05 20:46
업데이트 2020-11-06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사 이래 분기 매출 1조원·영업이익 1000억원 처음 돌파

3분기 매출 1.1조… 영업이익 1202억원
여·조 공동대표 합류 후 고속성장 거듭
취임 당시 분기매출 5000억~6000억대
메시지창 광고 ‘비즈보드’ 캐시카우로
“코로나 위기 속 카카오만의 사업 통해”
이미지 확대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왼쪽) 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오른쪽)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왼쪽)
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오른쪽)
여민수(왼쪽)·조수용(오른쪽) 공동대표 ‘콤비’가 3년여 만에 카카오를 갑절로 키워 냈다. 카카오는 2014년 다음과의 합병 이후 3년 만인 2017년 3분기 매출 5000억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 3분기에는 1조원 벽을 깼다. 수익모델이 단단하지 않다고 지적받던 카카오가 이제는 ‘돈 잘 버는 회사’로 환골탈태한 것이다.

카카오는 올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 1004억원, 영업이익 1202억원을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41%, 영업이익은 103% 늘었다. 창사 이래 카카오 분기 매출 1조원, 영업이익 1000억원을 넘긴 것은 모두 처음이다.

카카오는 여민수·조수용 공동대표가 합류한 이후 고속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의 ‘친정’인 NHN 출신인 두 대표는 2016년 말쯤 나란히 카카오에 입사했다. 2018년 3월 이들이 공동대표에 취임할 당시에는 분기 매출이 5000억~6000억원대에서 횡보를 거듭하고 영업이익률도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하지만 2019년 1분기부터 7분기 연속 영업이익이 성장했고 올해는 매 분기 10%대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카카오가 돈 잘 버는 회사로 전환하는 기폭제가 된 것은 ‘비즈보드’ 서비스였다. 카카오톡 메시지창 상단에 광고를 붙이는 비즈보드는 2019년 5월 출시됐다. 없던 광고창이 생기면 이용자들이 불편해질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지만 광고 전문가인 여 대표는 비즈보드를 밀고 나갔다. 우려와 달리 비즈보드로 인한 불만은 크지 않았고 월간 4600만명에 달하는 카카오톡 사용자를 바탕으로 비즈보드는 ‘캐시카우’로 자리매김했다. 비즈보드가 속한 ‘톡비즈’ 사업영역에서 카카오는 지난해 연간 65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올해 목표는 1조원이다. 여 대표는 “카카오 비즈보드는 연말까지 (광고주를) 1만 곳 이상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면서 “그런데 지난 9월 누적 광고주 수가 1만 2000곳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디자인과 브랜드 전문가인 조 대표가 ‘카카오스러움’을 입힌 카카오의 신사업도 급성장하는 추세다. 신사업부문은 올 3분기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플랫폼 사업 성장, 카카오페이 거래액 확대를 앞세워 지난해 동기보다 139% 증가한 148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카카오페이지·픽코마 등을 앞세워 웹툰·웹소설 등의 사업 영역을 개척하고 있는 ‘콘텐츠 부문’ 매출은 지난해 동기보다 26% 증가한 5460억원을 기록했다. 여 대표는 “펜데믹(대유행)이라는 초유의 위기 상황 속에서도 카카오만의 사업 방식이 만들어 낸 결과”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0-11-06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