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전기차로 달리는 일석이조의 길/문정호 환경부 차관

[기고] 전기차로 달리는 일석이조의 길/문정호 환경부 차관

입력 2011-02-14 00:00
업데이트 2011-02-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문정호 환경부 차관
문정호 환경부 차관
지난해 9월 고속전기차가 출시된 이래 TV와 신문지면에서는 전기차 개발 동향과 보급을 위한 각국의 지원정책이 자주 다루어지고 있다. 작년 이맘때쯤 정부가‘전기차 산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였을 때와는 관심의 정도가 꽤 다르게 느껴진다.

비단 국내뿐만이 아니다. 국외로 눈을 돌려 봐도 전기차에 대한 관심의 수위는 하루하루가 다르게 높아지는 듯하다. 세계 유수의 자동차 업체인 르노와 GM, 푸조 등이 전기 자동차의 양산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작년에 세계적으로 일본의 아이미브(i-MiEV)만이 양산형으로 출시된 것에 비해 2인승부터 5인승, 경형 승용차부터 배달형 차량까지 용도에 따른 새로운 모델이 올 파리 모터쇼를 전후하여 속속 발표되었다.

이러한 업체의 발빠른 대응 이면에는 각국 정부에서 앞다투어 발표하고 있는 강력한 지원대책이 있다. 일례로 지난 100여년간 자동차 시장의 최강자 중 하나였던 독일에서는 2020년까지 전기차 100만대를 보급하고 2050년까지 모든 도시교통을 탈석유화한다는 정부의 야심찬 계획이 발표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2011년까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보급을 지원하여 초기 시장을 형성하고, 2016년까지는 전기차 충전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등 다각적인 충전방식을 실험한다고 한다. 이러한 보급전략을 바탕으로 독일은 2030년까지 자동차 시장의 2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전기차 시장에서도 우위를 다질 요량인 것이다.

그러나 전기차는 오로지 시장의 관점에서만 바라볼 것이 아니다. 탄소 배출량과 대기오염물질이 ‘제로’(Zero)라는 점에서 전기자동차를 생산, 보급하는 것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현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라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에너지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라면 전기자동차는 그야말로 탈석유시대의 아이콘이라 하겠다.

환경부는 친환경 전기자동차를 보급하기 위한 체계적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우선 전기자동차가 실제 도로 운행에서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이는지를 평가하고 충전시설의 실제 효율도 가늠하고자 한다. 내년부터는 지자체 등의 공공수요를 중심으로 전기차를 보급하여, 2012년까지 생산되는 전기차의 대부분을 공공부문에서 소화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렇듯 정부가 안정적인 구매처가 되어 준다면, 제작업체는 판매에 대한 부담을 덜고 계획한 물량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2013년 이후에는 일반 소비자도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생산단가가 인하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재원과 업체의 생산물량이 한정되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전기자동차와 충전시설은 함께 보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환경부는 전기차를 보급할 지자체와 협의하여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는 운행 모델을 개발하고, 적정한 개수의 충전시설을 같이 보급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관광단지 내에서 운행되는 버스를 전기차로 대체한다든지, 대학생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기차 클럽을 구성하는 모델이 있을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어젠다를 선점하여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아 왔다. 이제 전기자동차 보급 전략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이 어젠다를 성공적으로 구현해야 할 때이다.
2011-02-14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