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바래’와 ‘바라’/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바래’와 ‘바라’/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9-23 20:24
업데이트 2020-09-24 04: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네가 행복하길 바라.”

뭔가 어색하다. ‘바래’로 쓰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다.

언어 규범과 입말이 다른 대표적인 예 중 하나를 들자면 ‘바라’와 ‘바래’가 있다.

한글맞춤법에 따르면 ‘가다, 놀라다, 나타나다’와 같이 모음 ‘ㅏ’로 끝나는 어간에 ‘-아’가 결합할 경우엔 ‘가아, 놀라아, 나타나아’가 아니라 ‘가, 놀라, 나타나’ 형태로 적는다.

‘마음속으로 기대하다’란 뜻의 동사 ‘바라다’도 이에 해당한다. ‘바라’로 사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 같은 설명에 고개를 끄덕이다가도 실생활에선 대부분이 ‘바래’란 표현을 사용한다. 글로는 ‘바라’라고 쓰는 사람조차 말할 때는 ‘바래’라고 한다. ‘바라다’의 활용형으로서 ‘바래’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국립국어원은 같은 음운 구조를 가진 ‘자라다’를 ‘자래’로 쓰지는 않는데 ‘바라(다)+-아→바래’를 인정하게 되면 어미 ‘-아’가 ‘바라다’ 뒤에서 ‘-애’로 바뀌는 규칙을 새롭게 설정해야 하므로 이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바른 언어 사용을 위해 규범은 꼭 필요하다. 하지만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 말은 이미 생명력을 다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우리는 달라진 현실을 반영해 ‘짜장면’이나 ‘마실’, ‘내음’이 표준어로 등재되는 걸 목격했다.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이란 걸 경험한 것이다.

‘바래’ 역시 표준어로 인정받는 날이 오길 ‘바라’ 본다.

oms30@seoul.co.kr
2020-09-24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