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지역 풀뿌리 건강사업으로 코로나 극복하자/정남숙 서울시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장

[기고] 지역 풀뿌리 건강사업으로 코로나 극복하자/정남숙 서울시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장

입력 2020-11-24 20:16
업데이트 2020-11-25 0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남숙 서울시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장
정남숙 서울시 시민건강국 건강증진과장
코로나19와 함께 겨울이 우리 앞에 찾아왔다. 올 한 해 우리에게는 코로나19라는 엄청난 시련이 다가왔고 지난 2월 발병했을 때만 해도 봄이 지나고 여름이 오면 나아지겠지 하면서 버텨 왔다. 하지만 겨울 초입에 든 지금도 코로나19는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다.

현재 주민의 건강을 위해 예방과 진료, 관리를 담당하던 보건소는 모두 감염병 관리 체계를 갖추고 코로나19 방역 업무를 하고 있다. 서울시 역시 이 전대미문의 감염병을 관리가 가능한 수준으로 대응하고 있다.

보건소를 중심으로 감염병 방역업무가 이뤄지지만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인 주민의 건강증진과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사업 등은 중단 또는 축소됐다. 고혈압, 당뇨 등 건강관리를 위한 교육과 다양한 공간에서 걷기 등 운동 등으로 이뤄졌던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멈춰 섰다. 이런 상황에서도 주민이 자발적으로 만들어 낸 건강 활동 실천모임으로 이뤄진 서울시의 건강생태계 조성사업은 코로나19로 인해 움츠러든 주민의 건강을 위해 움직이고 있다.

서울시의 건강생태계 사업은 2015년부터 보건소와 지역의 풀뿌리 민간단체가 힘을 합쳐 진행하고 있다. 기획부터 의사결정, 실행과 평가 등 전 과정을 민관이 같이 공동 수행하고 책임지는 파트너십으로 운영되는 게 특징이다. 다양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이 직접 건강관리의 주인으로서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사업이다. 특히 감염병 시대에 공공의 의료 및 돌봄 영역이 주민들에게 다가가기 어려울 때 건강생태계 조성사업은 더욱 필요하다. 건강활동가와 참여 주민을 1대1 또는 소규모 관계 맺기를 통해 주민을 찾아가는 건강지킴이로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활동가가 주민을 만나 안부를 묻고 약봉투를 배달하는 심리적 지지활동,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떠도는 가짜뉴스에 대응해 서울시 또는 질병관리청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방역활동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운동방법 등을 영상으로 제작하고 공유한다. 또 건강 실천 여부를 체크하는 등 주민 스스로 안전한 관계망 형성에 노력하고 있다. 지역의 다양한 건강문제는 주민과 공공이 함께 힘을 모아야 가능한 부분이다. 지역의 소외된 이웃들에게 건강생태계 활동가들의 작은 실천이 큰 힘으로 다가갈 수 있다. 이 같은 활동과 나눔으로 따뜻한 겨울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모두의 힘으로 코로나19도 잘 이겨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2020-11-25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