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노인 돕는 똑똑한 로봇 만든다

[요즘 과학 따라잡기] 노인 돕는 똑똑한 로봇 만든다

입력 2020-11-23 20:14
업데이트 2020-11-24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휴먼케어로봇 위한 DB 기술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들에 대한 돌봄 서비스 수요가 급격하게 늘고 있다. 휴먼케어 로봇은 이와 같은 수요에 대처할 수 있도록 노인들과 가벼운 대화는 물론 약 복용이나 식사시간을 알려주고 노인의 행동이나 상황을 인지함으로써 돌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을 말한다. 이런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로봇 시점에서 고령자를 촬영한 데이터세트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로봇이 운용되는 환경에서 사람의 일상 행동을 인식하기 위한 데이터세트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고령자 대상의 데이터세트는 세계적으로도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진은 고령자케어 로봇을 위한 행동 인식 연구를 위해 2017년부터 다양한 환경에서 3차원 영상 데이터세트를 만들었다. 실제 상황과 근접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실험실이 아닌 일반 아파트에서 조명 상태, 실내 구조, 화장실 위치, 실제 노인의 행동들에 초점을 맞춰 영상을 데이터로 만들었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2019년 말 약 12만건이 공개됐다. 이와는 별도로 70~80대 독거노인 30가구를 방문해 노인들의 움직임을 그분들이 생활하는 환경에서 직접 촬영함으로써 실제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상황을 포함하는 실환경 3차원 영상 데이터세트 6589개를 구축해 최근 공개했다. 연구자에게 공개된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국내외 휴먼케어 로봇의 상용화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머지않아 보다 친숙한 로봇이 우리 곁에 바짝 다가올 것이다.

이재연 ETRI 인간로봇상호작용연구실 박사

2020-11-24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