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이불 널기/이지운 논설위원

[길섶에서] 이불 널기/이지운 논설위원

이지운 기자
입력 2020-03-11 22:44
업데이트 2020-03-12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또 이불을 널었다. 게으름이 틈타는가 싶다가도 몸이 먼저 움직인다. 쏟아지는 저 햇볕을 그냥 두어서는 안 되겠다는 충동에서일까. 널린 이불 위로 해 가는 길이 그려진다. 한참을 보노라면 햇볕의 양도 측량되는 듯한 착각마저 인다.

지난날 햇볕을 얼마나 소비했을까? 시간으로야 분명하다. 저 위치 같은 자리로 오기까지 대략 24시간, 1440분, 8만 6400초. 늘 셈하지 않아도 된다. 언제든 역산할 수 있으니. 그럼, ‘광열(光熱)의 총량’은? 이런, 생각해 보지 않은 것 같다.

광열의 기억을 더듬어 보니, 그때 그 교실들의 창가가 제일 선명하다. 해바라기를 할 때면 반응도 제각각이었다. 애늙은이냐는 핀잔도 있었고, 나가 놀지 왜 여기서 청승이냐는 구박도 들었다. 해바라기 자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친구도 있었다. 그저 말없이 와서 나란히 창가에 기대던 친구들도 기억난다. 얼굴은 도통 떠오르질 않는다. 그 온기, 그 느낌만 몸이 기억했나 보다.

역시 아파트촌(村)의 해는 짧다. 늦게 떴다 일찍 가는 것이, 어데 외진 산촌(山村)과 차이가 없다. 벌써 저쪽으로 떨어지며, 기쇠해져 간다. 이렇게 햇볕이 아깝다고 느껴본 적이 있었던가. 재택근무 덕분이다. 뽀송해진 이불에서 햇볕의 흔적을 되짚을 뿐이다.

jj@seoul.co.kr
2020-03-12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