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방관자 효과/김균미 대기자

[길섶에서] 방관자 효과/김균미 대기자

김균미 기자
입력 2020-07-09 20:42
업데이트 2020-07-10 0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관자 효과. 주위에 사람이 많을수록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지 않게 되는 현상을 뜻하는 심리학 용어다. 1964년 미국 뉴욕 퀸스 지역 주택가에서 캐서린 키티 제노비스가 모르는 남성에게 30분 동안 흉기에 찔리며 비명을 지르고 도망 다녔지만 주변의 목격자들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해 숨진 사건에서 유래한다. “내가 나서지 않아도 누군가 돕겠지”, “괜히 나섰다가 불이익을 당할지 몰라”라는 심리가 깔려 있다.

그런데 방관자 효과가 인간에게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9일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대학의 페기 메이슨 신경생물학 교수팀이 쥐를 대상으로 한 방관자 효과 실험에서 인간에서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쥐는 보통 다른 쥐가 덫에 걸려 있으면 풀어 주려 달려들지만 주변에 도움을 주지 않고 방관하는 다른 쥐가 있으면 도와주러 나서는 경우가 낮았다고 한다. 실험 결과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방관자 효과가 개체의 성향이나 도덕성보다 주변 상황에 달려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각박해지고 나 홀로 문화가 확산하면서 주위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요즘, ‘우리’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실험 결과다.

kmkim@seoul.co.kr
2020-07-10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