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코로나가 바꾼 주인장/임병선 논설위원

[길섶에서] 코로나가 바꾼 주인장/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9-08 20:46
업데이트 2020-09-09 04: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북한산에서 성북동 쪽으로 내려오면 막국수집 들르는 게 즐거움이다. 사실 지난해 망년회 때 좋지 않은 일이 있긴 했다. 산악회 총무가 조그만 실수를 했는데 주인장이 화를 냈다. 너그러이 넘어갈 만한 일이었는데 정도가 심하다 싶었다. 그래도 그 일대에 맛으로 그만한 집이 없어 자연스레 발길이 향하곤 했다. 주말이면 뚝섬 집에서 중랑천과 청계천, 성북천의 물길 거슬러 1시간 40분을 걸어 찾아가기도 했으니 더 말할 나위 있겠는가. 그 정도면 풀방구리 드나들 듯한 셈인데, 주인장의 단골 대하는 태도는 달라지지 않았다. 손님이 너무 많고 장사가 잘되니 그러나 보다 했다.

그런데 지난 주말 반전을 경험했다. 오리백숙을 정신없이 들고 있는데 웬걸, 메밀부침을 서비스라며 내온다. 그러고 보니 주방에서 주인장이 손님들에게 “어서 오세요” 반가운 인사를 건넨다. 북적이던 과거에 없던 상냥함 자체다. 한 어르신이 “요즘 많이 힘드시죠”라고 인사치레를 하자 “뭐 저희만 힘든가요? 모두 다 힘든데요. 호호홋” 한다.

코로나19가 많은 것을 바꿔 놓았다 싶었다. 계산 마치고 나오는데 종업원이 맑은 목소리로 외친다. “다음에 또 오세요!” 이른 여름까지 보지 못했던 일이라 산을 올려다보며 공연히 웃음이 터졌다.

bsnim@seoul.co.kr
2020-09-09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