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위대한 삶/이동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위대한 삶/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0-11-23 20:14
업데이트 2020-11-24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식을 장가보내고 보니 우리 부모님의 심경과 고충을 알겠네.” 최근 맏아들을 장가보낸 한 친구의 넋두리가 예사로이 들리지 않았다. “그 어렵던 시절 4~5명 이상의 자식을 교육시키고 결혼까지 책임졌던 부모님 생각이 앞섰다”며 혼주가 된 소감을 차분하게 들려줬다.

친구의 말과 표정에서 새삼 우리 주변 모든 부모님의 삶이 ‘위대함’으로 다가왔다. 보릿고개라는 단어가 채 가시지 않은 시절임에도 4~5명의 자식을 교육시키고 혼사까지 마무리해야 책임을 다했노라고 한숨 놓으시던 부모님들. 모두가 대단한 삶을 사셨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은 기껏해야 1~2명뿐인 자식조차 제대로 뒷바라지 못 할까 노심초사하는 게 우리 주변의 부모 모습이 아닌가.

딱히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세태가 우리 삶을 더욱 어렵고 힘들게 만들고 있다고 변명도 해 보고 싶다. 복잡해진 세상살이에 쉽게 지치고, 풍요로움 속에 뒤처질세라 언제나 부족한 듯 허둥지둥 살고 있는 모습. 역할을 다해 냈다는 뿌듯함보다는 허전함이 더 큰 삶에 초라함이 느껴진다. 부모 역할이 그리 쉽지 않다는 생각이 자꾸만 커져 간다. 이제야 철이 드는 것일까. “내가 부모 되어서 알아보리라”는 소월의 시구가 불현듯 떠오른다.

yidonggu@seoul.co.kr

2020-11-24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