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국어 배격’ 국수주의 가속화

中 ‘외국어 배격’ 국수주의 가속화

입력 2011-02-09 00:00
업데이트 2011-02-09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론매체 이어 건물 이름·번지도 알파벳 금지 추진

중국 베이징시가 건물의 이름이나 번지 표시, 동호수 표기 등에 알파벳 등 외국 문자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해 논란이 일고 있다. 때마침 중국은 톈안먼(天安門) 광장에 대형 공자 동상까지 세우는 등 자국 문화 수호 의지를 대내외에 과시하고 있다.

베이징시 질량기술감독국은 최근 ‘번지 등의 표기 규범’ 초안을 마련, 인터넷 등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규범 초안에 따르면 건물의 이름, 번지, 동호수 등을 표기할 때 한자와 함께 순차적으로 아라비아 숫자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숫자를 빼먹거나 외국 문자를 사용해선 안 된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아파트 A동 1A호’ 등으로 표기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아파트 1동 1-1호’ 또는 ‘○○아파트 1동 101호’ 등으로 표기해야만 한다. 건물 이름이나 동호수 표지판의 규격, 재질, 색깔 등도 엄격한 기준을 따르도록 했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죽을 사(死)자와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건물 층수 표기에서 누락시켰던 4층, 14층 등도 앞으로는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베이징시의 이 같은 조치는 최근 언론감독기구인 신문출판총서가 각종 언론매체에 국내총생산(GDP), 세계무역기구(WTO) 등의 외국어 약자 사용을 금지시킨 데 이어 나온 것이다. 신문출판총서는 무분별한 외국어 사용이 중국어의 순수성을 훼손할 수 있다며 외국어 약자 사용을 금지시켰다.

잇따르고 있는 ‘외국어 배격’ 조치 등에 대해 중국 내에서도 문화 국수주의 논란이 일고 있다. 광저우(廣州)미술원의 리궁밍(李公明) 교수는 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공식적인 수단을 사용해 문화적 조류를 억압하려는 것은 의미가 없고 효과도 없다.”면서 “문화적 개방성과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시대 흐름에 반하는 조치”라고 비판했다. 상하이의 한 문화비평가도 “최근 들어 이데올로기 분야를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점점 문화적 보수주의에 경도돼 서구의 문화를 배척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면서 “결국 이러한 행위는 중국 문화의 쇠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2-09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