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늦게 자거나 일찍 일어나도···장수엔 7시간”

“너무 늦게 자거나 일찍 일어나도···장수엔 7시간”

입력 2011-02-09 00:00
업데이트 2011-02-09 0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잠자는 시간이 하루 6시간 미만이면 심장병과 뇌졸중에 의한 사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면 하루에 7시간 정도의 잠은 만성질환 위험성을 크게 낮춘다.

 영국 워릭대학의 프란세스코 카푸치오 박사팀은 8일 유럽심장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하룻밤 수면시간이 6시간 미만이고,너무 늦게 잠자리에 들거나 너무 일찍 일어나는 습관,수면장애가 있는 사람 등은 건강에 치명적인 ‘시한폭탄’을 안고 사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8개 나라 47만여명을 대상으로 7~25년에 걸쳐 추적 조사했다. 수면시간이 6시간 미만이면 심장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48%나 높고,뇌졸중을 일으킬 위험성도 15% 높았다.

 앞서 카푸치오 박사는 지난해 5월 발표한 논문에서 총 130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16건의 관련 연구보고서를 종합 분석한 결과, 하루 수면시간이 6시간이 안 되는 사람은 6~8시간인 사람에 비해 일찍 죽을 가능성이 평균 1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잠을 너무 적게 자면 스트레스 호르몬이나 기타 유해 화학물질의 분비를 촉진해 심혈관계에 ‘독약’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잠을 너무 많이 자는 것도 건강에 해롭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략 하루에 7시간 정도 자는 것이 미래의 건강을 보호하고 만성질환에 걸릴 위험성을 낮추는 방법”이라며 “필요한 만큼 자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고 장수하는 비결”이라고 밝혔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