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코앞에 이란 군함?

이스라엘 코앞에 이란 군함?

입력 2011-02-24 00:00
업데이트 2011-02-24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2년 만에 수에즈 운하 통과 이 “중동패권경쟁 의도” 격분

이란 군함이 수에즈 운하를 지나 지중해로 들어서면서 민주화 시위로 가뜩이나 고조된 중동지역의 긴장감이 더욱 치솟고 있다. 이스라엘은 앙숙인 이란의 전투함이 자국 앞바다에까지 진입하자 “중동지역에서 힘을 과시하려는 이란의 속내가 드러났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관리청은 22일(현지시간) “이란 국적의 군함 알반드함과 보급선 하르크호가 오늘 오후 1시 30분쯤 수에즈 운하를 빠져나와 지중해에 진입했다.”고 밝혔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이 선박들은 23일 목적지인 시리아 연안에 도착했다. 이란 군함이 수에즈 운하를 공식 통과한 것은 1979년 이란에서 이슬람혁명이 일어난 뒤 처음이다. 친이스라엘 성향인 호스니 무바라크 전 이집트 대통령은 이스라엘 및 미국 등과의 관계를 고려해 이란 군함의 운하 진입을 막았다.

하지만 무바라크 축출 이후 정권을 잡은 군부가 상선과 전투선 구분 없이 수에즈 운하 이용을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세워 이란 군함이 운하를 통과할 수 있었다. 수에즈 운하는 국제법상 전시가 아닌 때는 어떤 선박이든 통과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때문에 이란은 자국 군함의 운하 진입이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이스라엘은 이란 군함이 32년 만에 지중해에 모습을 나타내자 격한 감정을 내비쳤다. 실반 샬롬 이스라엘 부총리는 “이란이 중동지역의 패권 경쟁에 전력투구하겠다는 뜻을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이란 군함의 최종 목적지인 시리아는 이스라엘의 이웃나라이면서도 중동 내 대표적 반미·반이스라엘 국가로, 이란과 시리아가 군사적 협력을 강화한다면 이스라엘은 사면초가에 놓일 수 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2-24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