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피의 금요일] 2인자 없는 리비아… 장기 內戰·동서 분리 가능성

[리비아 피의 금요일] 2인자 없는 리비아… 장기 內戰·동서 분리 가능성

입력 2011-02-26 00:00
업데이트 2011-02-2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스트 카다피 체제 어디로

42년간 리비아를 철권 통치해온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이 시민들의 봉기로 벼랑 끝에 몰리면서 ‘포스트 카다피 체제’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반정부 시위대가 카다피 축출에 성공한다 해도 과도정국이 원활하게 펼쳐지기가 힘든 여건이고, 때문에 소말리아나 수단처럼 장기 내전의 나락으로 추락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반기 든 엘리트들 나서면 희망

카다피는 40년 넘는 집권기간 2인자를 허락하지 않으며 철저한 ‘1인 독재 체제’를 갖췄다. 차남인 사이프 알 이슬람 등 아들들에게 부자 세습을 꾀했던 것이 그가 세웠던 후계 계획의 전부다. 반(反)카다피 진영도 차기 지도자에 대한 변변한 대안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카다피의 압제 속에 제대로 된 야당이나 노동조합, 시민사회단체가 뿌리내리지 못한 탓에 이집트에서처럼 범야권 주도의 민주적 정권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BBC는 분석했다. 무력을 앞세운 부족 간 힘겨루기가 상황을 주도할 것이란 설명이다.

‘카다피 없는 리비아’가 눈앞까지 왔는데도 막상 차기 지도자감이 떠오르지 않자 시민들 사이에서는 ‘권력 진공상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부족 간 적대감이 심한 리비아에서 주요 부족장들이 근거지에 대한 자치권을 휘두르려 한다면 무정부 상태나 내전으로 빠져들 공산이 크다.

시위대에게 최상의 권력이양 시나리오는 최근 카다피에게 항명하고 시민의 품에 안긴 정권 엘리트들이 혁명 이후의 조율 역할을 하는 방안이다. 압둘 파타 유네스 전 내무장관을 비롯해 시위대의 요구에 화답하며 카다피 곁을 떠난 외교관과 군 장교들이 경험을 살려 부족 대표 등을 설득한다면 희망이 있다.

‘이집트 모델’처럼 군부가 정권이양 과정을 중재하고 감독하는 시나리오도 기대해볼 만하다. 그러나 리비아군은 카다피가 쿠데타를 우려해 조직적으로 육성하지 않은 탓에 정국 수습을 주도할 능력이 없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동부 분리선언 땐 유혈충돌 심화

이 가운데 리비아가 두 동강 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BBC는 리비아의 뿌리 깊은 동·서 갈등은 시위 기간에 더욱 공고해져 동부 지역이 분리독립을 선언할 가능성이 있고, 이렇게 된다면 전역에서 유혈충돌이 더 격렬히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2-26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