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장쩌민 사망설 부인… ‘위중’ 신호는 여전

中, 장쩌민 사망설 부인… ‘위중’ 신호는 여전

입력 2011-07-08 00:00
업데이트 2011-07-08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화통신 “헛소문” 불구 일대기 사진 공개에 임박설

중국이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의 사망설을 부인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월 쓰촨성을 시찰한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가운데). 꼿꼿이 서 있는 등 비교적 건강한 모습이다.  중국신문사 홈페이지
지난해 12월 쓰촨성을 시찰한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가운데). 꼿꼿이 서 있는 등 비교적 건강한 모습이다.
중국신문사 홈페이지


관영 신화통신은 7일 ‘권위 있는 소식통’을 인용해 “장 전 주석이 병으로 사망했다는 최근의 몇몇 외국 언론 보도는 순전히 소문일 뿐”이라고 보도했다. 신화통신이 국무원 직속 기구라는 점에서 이번 보도를 통해 중국 정부와 공산당이 장 전 주석 사망설을 공식 부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중국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장 전 주석 사망설과 관련, “신화통신이 이에 대한 소식을 발표했으니 참고해 달라.”며 신화통신의 보도를 상기시켰다.

중국은 장 전 주석 건강 이상설 등이 불거질 때마다 이를 직접 부인하는 대신 적절한 시기를 택해 그의 동정을 보도하는 식으로 그 같은 소문을 잠재워 왔다. 그런 점에서 신화통신이 하루 만에, 그것도 직접 사망설을 부인한 것은 이례적이다. 베이징 외교가에서는 이 같은 정황을 근거로 “장 전 주석이 도저히 움직일 수 없을 만큼 병세가 심각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사실상 기계에 의존해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는 극단적인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신화통신은 이번 보도를 중문이 아닌 영문 기사로만 전했다.

이날 중국 언론 대부분에서는 장 전 주석 관련 보도가 하나도 없었지만 반관영통신인 중국신문사는 네티즌이 올린 장 전 주석 사진 36장을 홈페이지 게시판에 그대로 게재해 눈길을 끌었다. ‘그가 중국을 바꿨다’는 제목의 이 사진첩에는 학사모를 쓴 대학 졸업 앨범 사진부터 주요 활동 모습 등 장 전 주석의 일대기가 담겨 있다. 민감한 시점에 장 전 주석의 일대기가 담긴 사진이 공개된 것은 사망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신호가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장 전 주석은 지난 1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중국 공산당 창당 90주년 경축대회에 불참하면서 건강 이상설이 제기됐고, 이는 급기야 사망설로 확산됐다.

장 전 주석은 퇴임 후에도 비교적 대외 활동을 많이 했다. 2008년 8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2009년 10월 건국 60주년 기념 열병식을 비롯한 주요 정치 행사에 참석해 왔다.

지금까지는 지난해 4월 상하이 엑스포 개막 직전 3세대 지도부인 리펑(李鵬), 주룽지(朱鎔基) 전 총리 등과 함께 엑스포 현장을 참관한 것이 마지막 공개 활동으로 알려졌지만 지난해 12월에도 쓰촨성을 시찰한 사실이 이날 확인됐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7-08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