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 대박 없었지만…민주당 전대 후 ‘바이든 52% vs 트럼프 42%’

시청률 대박 없었지만…민주당 전대 후 ‘바이든 52% vs 트럼프 42%’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0-08-24 14:35
업데이트 2020-08-24 14: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CBS조사 “바이든, 트럼프에 10%p 앞서”
직전 CNN조사서 4%포인트 격차 재확대
54% “화상전대 후 바이든 호감도 좋아져”

반면 전대 시청률은 불과 30%에 그쳐
2016년 갤럽 조사 때 시청률은 62%
공화지지자 57% “코로나 사망자수 용인”
23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23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지난 17일부터 나흘간 치른 미국 민주당 화상 전당대회 직후 여론조사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전 부통령)의 지지율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보다 10%포인트나 높게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추격세가 둔화되면서 전대의 위력을 보여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민주당 전대의 시청률이 예전보다 크게 떨어졌다는 조사도 나오면서 소위 ‘컨벤션 효과’가 예전 같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CBS방송이 23일(현지시간) 여론조사업체 유고브와 20~22일 진행한 대선 후보 지지율 조사에 따르면 바이든 후보의 지지율은 52%로 트럼프 대통령(42%)보다 10%포인트나 앞섰다. 지난 17일 CNN이 발표한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4%포인트까지 격차를 좁혔지만 민주당 전대 직후 다시 벌어진 셈이다.

전대 이후에 바이든 후보에 대한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는 54%가 ‘더 나아졌다’고 답했고, 24%는 ‘더 나빠졌다’, 22%는 ‘변화가 없었다’고 답해 화상임에도 불구하고 전대의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ABC방송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21~22일 조사해 이날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일부라도 전대를 시청했다는 응답은 불과 30%에 불과했다. 직전 대선인 2016년 갤럽 조사 때는 62%가 민주당 전대를 일부라도 봤다고 응답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민주당 전대 시청률은 일부 요일의 경우 2016년에 비해 50% 가까이 떨어졌다.

온라인 시청률이 합산되지는 않았지만 대형 이벤트 이후 대선 후보의 지지율이 오르는 ‘컨벤션 효과’는 점점 약해지고 있다는 게 대체적 견해다. 미국 정치가 양극화되면서 대부분 유권자가 이미 지지후보를 정하고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의미다. 정치전문 웹사이트 ‘파이브서티에잇’에 따르면 2004년 이후 전대의 컨벤션 효과로 인한 지지율 상승은 2%포인트 안팎으로, 이전 두 차례 대선 때 6%포인트에 비해 크게 줄었다.

이날 CBS 조사에서도 정치적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18만명이 넘는 미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수에 대해 공화당 지지자 중 57%만 받아들일 수 있는 규모라고 답했지만, 민주당 지지자들은 무려 90%가 용인할 수 없다고 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