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격리시설’인 중국 호텔 붕괴돼 70여명 매몰

‘코로나 격리시설’인 중국 호텔 붕괴돼 70여명 매몰

조현석 기자
조현석 기자
입력 2020-03-08 11:43
업데이트 2020-03-08 1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격리 대상자·의료진 등 매몰…20여명 생사불명밤샘 구조 속 47명 구출…한국인 호텔 숙박객은 없어
8일 구조대원들이 중국 푸젠성 취안저우시 신자(欣佳)호텔 건물 붕괴 현장에서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호텔은 코로나19 격리장소로 활용중이었다. 푸젠성 AP 연합뉴스
8일 구조대원들이 중국 푸젠성 취안저우시 신자(欣佳)호텔 건물 붕괴 현장에서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호텔은 코로나19 격리장소로 활용중이었다. 푸젠성 AP 연합뉴스
중국 푸젠성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격리 장소로 쓰이던 7층짜리 호텔 건물이 무너져 약 70명이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8일 인민일보와 환구시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전날 오후 7시 30분(현지시간)쯤 푸젠성 취안저우(泉州)시에 있는 신자(欣佳)호텔 건물이 붕괴됐다.

중국 당국이 이 건물 안에 있던 사람들의 정확한 규모를 파악해 공개하지 않았지만 이 사고로 격리 대상자와 의료진 등 최소 70여명이 무너진 건물 내부에 갇힌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 붕괴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환구시보에 따르면 한 목격자는 “집에 있는데 갑자기 큰 소리가 나 폭발이라고 생각했다”면서 “베란다로 나가보니 맞은편 호텔이 완전히 무너졌다”고 전했다.

신자호텔이 2∼6층을 사용하고 1층과 7층에는 다른 상점들과 회사 사무실 등이 들어서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호텔은 2018년 6월부터 영업을 해왔고 총 80개의 객실이 있다.

사고가 나자 소방관 및 구급대원 등 800여명과 소방차량 67대, 구급차 15대 등 많은 인력과 장비가 동원돼 밤샘 구조작업이 진행됐다. 이날 새벽 5시40분쯤 현재 47명이 구조됐으며 현장에서는 나머지 실종자들을 찾는 구조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 호텔은 하루 숙박비가 100위안(약 1만7000원)가량의 저렴한 이 호텔로 다른 중국 지역에서 온 사람들을 일정 기간 강제 격리 하는 ‘집중 관찰 시설’로 활용 중이었다.

중국의 많은 도시는 후베이성 등 자국 내 ‘중점 지역’에서 온 사람이 관내에 들어올 때 14일간 지정 시설 또는 집에서 격리한 후에 정상적인 사회 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우리 외교 당국은 사고 호텔에 한국 국민은 없던 것으로 파악했다. 주광저우 한국 총영사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취안저우에 지정 격리 중인 국민이 4명 있지만, 이분들은 다른 시설에 있었다”고 밝혔다.

조현석 기자 hyun68@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