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2500년 전 생긴 스톤헨지 수수께끼 풀렸다

기원전 2500년 전 생긴 스톤헨지 수수께끼 풀렸다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0-07-30 22:32
업데이트 2020-07-31 02: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5㎞ 떨어진 말보로다운스 거석과 일치
솔즈베리까지 옮긴 방법은 여전히 의문

이미지 확대
관광객들이 영국 솔즈베리 평원에 있는 스톤헨지 유적을 감상하고 있다. 솔즈베리 AP 연합뉴스
관광객들이 영국 솔즈베리 평원에 있는 스톤헨지 유적을 감상하고 있다.
솔즈베리 AP 연합뉴스
영국 솔즈베리 평원에 자리잡은 세계적인 미스터리 유적인 스톤헨지 거석의 기원에 대한 수수께끼가 풀렸다. 고고학자들은 기원전 2500년쯤 현재의 월트셔주에 세워진 스톤헨지 대사암(sarsen) 거석들 대부분이 약 25㎞ 떨어진 같은 주의 말보로 다운스에 있는 웨스트우즈의 거석과 기원이 같다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고 BBC·가디언 등이 전했다.

스톤헨지 유적 정중앙에 말발굽 모양으로 늘어선 연회색의 대사암 거석들은 평균 높이 7m, 무게 20톤으로, 그동안 출처가 규명되지 못한 채 베일에 쌓여 있었다. 유적을 훼손하지 않고 샘플을 채취할 방법을 찾지 못한 탓이 컸다.

하지만 이번에 고고학자들은 15개의 조형물을 이루는 52개의 대사암 가운데 50개가 이곳에서 옮겨져 왔다고 확인했다. 1958년 유적지 작업에 참여했던 영국인 로버트 필립스의 가족이 지난해 1m가 넘는 암석 막대 샘플을 영국 정부에 반환한 게 실마리가 됐다. 당시 필립스는 균열된 거석들을 안정시키기 위해 금속막대를 집어넣어 받치는 작업에 참여했다가 이때 뽑아낸 암석 막대를 보관해 오고 있었다. 학자들은 암석 막대의 화학 성분을 분석하고 인근 지역 토양 성분들과 일일이 비교한 결과, 웨스트우즈 바위 성분과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브라이튼대학의 지질학자 데이비드 내쉬 교수는 “그 돌들이 어떻게 현장으로 옮겨졌는지는 여전히 추측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아직 정확한 경로를 모르지만 적어도 스톤헨지의 시작점과 끝점을 알게 됐다”고 감격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20-07-31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