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년 전 ‘사촌 조상’ 해골 파편 300시간 들여 맞춘 연구진

200만년 전 ‘사촌 조상’ 해골 파편 300시간 들여 맞춘 연구진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1-10 16:13
업데이트 2020-11-10 16: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호주 라트로브 대학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호주 라트로브 대학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호주 연구진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200만년 전 우리의 직계 조상과 사촌처럼 지냈던 이들의 해골을 짜맞춰 인류 진화의 비밀을 더 많이 알려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학명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는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으로 통하는 호모 에렉투스의 사촌인데 이번 해골의 주인공은 남성으로 보인다. 두 종은 같은 시대 어울려 지냈으나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가 먼저 스러졌다.

멜버른에 있는 라트로브 대학 연구진이 2018년 요하네스버그 북쪽 드리몰렌 고고학 단지의 옛 채석장에서 해골 파편들을 발견했는데 지난 2015년 같은 또래의 호모 에렉투스 소년 해골이 발견된 곳에서 몇 m 떨어지지 않은 곳이었다. 온전한 상태의 해골을 찾아낸 것이 아니라 파편들을 하나하나 맞춰 해골 모양을 만드는 데 300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안젤린 리스 박사는 영국 BBC에 “화석으로 남은 기록은 단 하나의 치아 뿐이었는데 이번에 발견된 것들은 아주 희귀하고 아주 운 좋게 남은 것들”이라고 말했다.

고고학자들은 지난 몇년 동안 화석들을 한 데 모아 분석하는 데 할애했는데 이들의 논문은 10일 전문 잡지 ‘네이처, 에콜로지, 진화’에 실렸다. 공동 저자인 제시 마틴은 BBC에 화석 조각들을 다루는 일은 “물에 젖은 골판지”를 갖고 일하는 것과 같았다며 그것에 들러 붙은 마지막 먼지 자국을 빨아들이기 위해 비닐 빨대를 이용하기도 했다고 털어놓았다.
호주 라트로브 대학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호주 라트로브 대학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당시 아프리카 대륙에는 인간과 비슷한 종족인 세 종류의 호미닌들이 경쟁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번에 발견된 해골은 인류의 마이크로 진화의 희귀한 예를 들려줄 것이라고 마틴 박사는 기대를 나타냈다.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는 치아가 커다랗고 뇌가 작아, 뇌도 크고 치아도 작은 호모 에렉투스와 확연히 달랐다.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는 덩이줄기(괴경 Tubers)와 나무껍질(bark) 등 거친 식물들을 씹어먹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리스 박사는 “시간이 흐르면서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는 그들의 어금니와 이로는 단단했거나 기계적으로 힘겨웠던 음식을 물거나 씹으면서 진화하거나 더 강한 힘을 발휘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기후변화 때문에 물이 늘어난 환경이 그들에게 필요한 음식 양을 줄였던 것은 아닐까 짐작했다.

반면 치아가 더 작았던 호모 에렉투스는 식물이나 고기 모두 잘 먹을 수 있었다. 두 종은 완전히 다른 종이었다. 진화적으로도 더욱 다양한 실험을 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200만년 전만 해도 파란스로푸스 로부스투스가 호모 에렉투스보다 훨씬 숫자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