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 숨겨 놓은 인간다움 찾기

서울이 숨겨 놓은 인간다움 찾기

입력 2011-02-26 00:00
업데이트 2011-02-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는 왜 이도시에 남겨졌을까】 김지수 지음 홍시커뮤니케이션 펴냄

패션지 ‘보그’의 김지수씨는 ‘GQ’의 이충걸 편집장과 함께 글쓰기로 팬을 확보한 스타 기자다. ‘나는 왜 이 도시에 남겨졌을까’(홍시커뮤니케이션 펴냄)는 ‘아름다운 사람들 나눔의 이야기’ ‘품위 있게 사는 법’ ‘나를 힘껏 끌어안았다’에 이은 김씨의 네 번째 책.

이미 ‘보그’를 통해 낯이 익은 글도 있지만 ‘나는 왜’는 도시인의 우울과 행복에 관한 수필집이다. 저자는 영화 ‘여배우들’에서 고현정, 윤여정, 최지우, 김민희 등 ‘까칠한’ 여배우들을 섭외해 화보 촬영장에서 고군분투하는 기자 역할을 연기해 얼굴을 알리기도 했다.

“여행길에 기차역에 잠시 정차할 때나 공항에서 비행기를 기다릴 때는 베이스캠프를 찾듯 누들 바를 찾는다.

다양한 인종들이 높은 테이블에 앉아 동시에 후루룩거리며 국수(누들)를 먹고 있는 모습은 감동적이다. 퐁듀, 햄버거, 푸아그라나 소시지가 아니라 달그락 후루룩 짭짭 꿀꺽 소리를 내며 국수를 먹고 있을 땐, 우리 모두 입으로 같은 언어를 쓰는 사람들 같다. 국수 가닥 위에서 우리의 삶은 한 줄의 하이쿠 같다.”

‘심장은 따스한 국수를 먹고 자란다’란 제목의 수필에서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바쁜 도시인에 대한 연민과 저자의 예민한 촉수가 동시에 드러난다.

백화점, 주방, 아지트, 거리, 영화관, 카페 등 도시를 대표하는 공간들로 이루어진 7개의 장은 각각 패션, 음식, 장소, 그리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낸다.

저자의 결론은 ‘행복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밥 먹는 일’이란 것. 그리고 사람이란 낯선 사람에게 다가가 길을 묻고, 그들의 안내를 받으며 타인의 도움과 친절로 살아간다는 관계의 이치다.

특유의 섬세한 눈과 필치로 서울이란 도시가 숨겨 놓은 인간다움을 찾아낸 기자는 그 보물 같은 장소를 책 끝자락에 따로 소개해 놓았다. 저자처럼 생수병 하나 들고, 운동화 신고 씩씩하게 걸어다니기 좋은 봄이 찾아왔다. 1만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2-26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