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을 아는 사람과 ‘수포자’… AI시대에 격차는 더 벌어질 것이다”

“수학을 아는 사람과 ‘수포자’… AI시대에 격차는 더 벌어질 것이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8-18 17:34
업데이트 2020-08-19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시, 수학이…’ 펴낸 김민형 교수

수학책으로 유례없이 8만부 팔린 전작
이번엔 사례보다 수학 그 자체에 집중
“수학은 과학 이론들을 설명하는 언어”
이미지 확대
김민형 영국 워릭대 수학대중교육 석좌교수가 최근 출간한 ‘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에 관해 소개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김민형 영국 워릭대 수학대중교육 석좌교수가 최근 출간한 ‘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에 관해 소개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우리나라 성인들의 평균 수학 이해도 수준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당히 높습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는 이 사실을 잘 모르는 것 같아요.”

김민형 영국 워릭대 교수는 “전 세계 여러 나라에 수학 대중강연을 다니며 내린 결론”이라고 했다. 그렇지만, 수학에 관한 거부감도 상당한 편이다. “대학입시 때문에 억지로 수학을 배우느라 그런 것 아니겠는가”라고 묻자, 그는 “대입 과목이 아니었다면 굳이 수학을 배웠겠나”라며 “수학을 배우는 데는 적당한 정도의 강제가 필요하다. 다만, 그 괴로움이 적당한 것인지는 생각해 봐야 한다”고 대답했다.

김 교수는 ‘정수계수 다항식의 해가 되는 유리수’를 찾는 데 위상수학적 방법론을 도입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한국인 최초 영국 옥스퍼드 수학과 교수로도 알려졌다. 그는 수학의 재미를 대중에게 알리는 일에 특히 관심이 많다. 지난 3월 워릭대로 옮기면서 ‘수학대중교육 석좌교수´라는 명칭을 붙였다. “강연도 많이 하고 책도 많이 내 수학의 재미를 알리는 일이 중요하다고 대학도 인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인플루엔셜)을 출간하고 TV를 비롯한 수학대중교육 강연에 나선 그를 지난 12일 서울고등과학원에서 만났다. 수학책으로는 유례없이 8만부나 팔린 전작 ‘수학이 필요한 순간’은 수학과 관련한 여러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적 사고법을 알려준다.

이번 책은 사례보다 ‘수학’ 그 자체에 집중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부터 벡터, 기하, 삼각함수, 통계 등 ‘수포자’를 질리게 했던 개념을 비롯해 유명한 수학자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중학생부터 현직 수학교사, IT 개발자, 미술작가 등 독자 7인과 나눈 9번의 세미나를 옮겼다.

“국내 과학 서적 중에 잘 팔리는 책은 수학 공식이나 수학적인 설명을 줄여 놨더라고요. 과학을 이해하고 세상을 이해하는 데 수학을 자꾸 빼고 가려는 건 분명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수학을 집중적으로 다루자, 말하자면 ‘정면돌파’인 셈입니다.”

그는 서울대 철학과로 입학했다가 중퇴하고 수학과로 옮긴 이유를 “과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싶어서”라고 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세상은 더 복잡해지고 지식은 점점 더 대중에게 공개되고 있다. 그는 이를 가리켜 ‘지식의 대중화·민주화’라고 명명했다. 이런 시대에 수학은 다른 이론을 이해하는 데 기반이 된다고 그는 거듭 강조했다.

“경제불평등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지니계수’가 있는데, 잘 들여다보면 수학적 이론이 상당합니다. 이런 지식이 점점 실생활에 쓰이고 있어요. 이처럼 수학은 여러 과학의 이론을 설명하는 언어입니다. 인공지능(AI) 시대가 다가옵니다. 수학이 더 필요해질 겁니다. 수학을 알고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격차는 더 벌어지지 않을까요.”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8-19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