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분의 소통 TED2011] “지식나눔 실천·창의성 발현… 테드는 진흙 속 진주”

[18분의 소통 TED2011] “지식나눔 실천·창의성 발현… 테드는 진흙 속 진주”

입력 2011-07-11 00:00
업데이트 2011-07-11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는 왜 TED에 빠졌나- 최웅식 TEDx 한국 대사

‘진흙 속 진주’

2005년 TED를 처음 접했을 때의 느낌이었다. 평상시에 쉽게 접할 수 없는 다양한 지식의 공존에 지적 충격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진실, 다양성, 호기심, 비상업, 비정치’라는 TED의 철학적 가치에 매력을 느끼고 2007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최웅식 TEDx 한국 대사
최웅식 TEDx 한국 대사
●‘진실·다양성·호기심·비상업·비정치’ 지적 충격

현재 나는 국내 최초의 TEDx 모임인 ‘TEDx 명동’을 이끄는 한편 TEDx 한국 대사 역할을 맡고 있다.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동호회인 ‘아이키노트’(iKeynote) 멤버를 중심으로 모인 TEDx 명동은 2009년 8월 국내 첫 행사를 시작으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TEDx를 하는 이유에 대해 묻는다면 나는 자신있게 대답할 수 있다. “전 세계인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지식과 생각을 나눠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이다. 얼마 전 우연찮게 찾아간 아프리카에서 상상도 할 수 없을 만큼 열악한 교육 환경을 직접 목격하고 나는 다시 확신했다. 지식을 공유하는 TEDx가 이들에게도 큰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이다. 현재 국내에서 열리는 TEDx 행사의 수는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다. 미국의 TEDx 단체들도 놀라운 눈으로 우리나라를 바라보고 있다. TEDx를 통해 형식을 파괴하는 다채로운 콘퍼런스 문화가 한국 사회에 보급되면서 TED를 따라하려는 시도 역시 이어지고 있다. 청중에 대한 배려가 없다는 평가를 받던 지루한 콘퍼런스들이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로 지루한 강연의 틀을 깨다

TED는 나눔의 실천이다. 한국에서도 ‘테드스러운’ 생각의 변화가 싹트고 있다고 확신한다. 고개를 돌려 우리 주변의 문제, 나아가 지구촌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힘을 보태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국제사회에 대한 한국의 기여를 늘려야 한다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주문이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도 TED는 큰 몫을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창의성의 발현 역시 TED의 힘이다. 한국의 미래에 대한 해답은 사회 전반의 창의적인 발상을 통한 혁신에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틀에 박힌 세상에 얽매여 있었다. 학생들은 형식적인 교육과정을 마친 뒤 취업을 해야 한다는 무미건조한 목표에 목을 매고 있다. 이런 현실은 우리가 창의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없게끔 만들었다. 강연의 틀을 깬 TEDx 콘퍼런스를 통해 청중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해 낼 수 있다. TEDx는 각 발표자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춘다. 빌 게이츠 같은 유명인들이 연단에 서기도 하지만 전혀 예상치 못한 숨겨진 보석 같은 사람들이 나타나 청중의 뇌리에 남는 기발한 이야기를 던지곤 한다.

●‘TED 토크스’ 한국 사회 소통혁신을 이끌다

나는 TED가 애플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가 강조한 인문학과 기술의 교차점을 만드는 작업이라고 확신한다. 평소 전혀 만나기 어려울 것 같던 분야의 사람들이 TED를 통해 나오는 ‘TED 토크스(Talks)’라는 콘텐츠를 매개로 공감하는 경우를 얼마든지 볼 수 있다. TEDx 행사장에 가 보면 낯선 사람들끼리 “오늘 어떤 TED 토크스가 가장 좋았어요?”라는 이야기를 나눌 수밖에 없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생각을 나누면서 사람들은 친해지고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순차적인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사람과 사람을 만나게 하는 공간을 만드는 일. 그것이 모든 콘퍼런스들이 취해야 할 지향점이고 TED는 그것을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국의 TED 열풍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소통의 부재에 시달렸는가를 방증하는 현상이다. TED가 단순히 스쳐 지나가는 유행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에 소통 방법의 혁신을 이끌어 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idreamer@ivisual.me

2011-07-11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