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명절마다 가정폭력 상담 증가…최대 34% 증가율

최근 3년 명절마다 가정폭력 상담 증가…최대 34% 증가율

신형철 기자
입력 2020-09-21 15:52
업데이트 2020-09-21 15: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3년간 추석, 설 명절 연휴 동안 접수된 가정폭력 상담건수 현황
최근 3년간 추석, 설 명절 연휴 동안 접수된 가정폭력 상담건수 현황 정춘숙 의원실/여성가족부 제공
코로나19로 명절연휴 동안 외출이 잦아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것이 가정 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명절 연휴마다 가정폭력 상담건수가 늘어나는만큼, 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춘숙 국회의원이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7~2019) 추석, 명절 연휴마다 가정폭력 상담건수가 평소보다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각 연도별 가정폭력 일평균 상담건수와 명절 연휴(추석, 설) 일평균 상담건수를 비교해 살펴보니, 낮게는 5.4%, 높게는 34%의 증가율을 보였다. 추석 명절엔 2017년 34%, 2018년 32%, 2019년 7%, 설 명절엔 2017년 9.5%, 2018년 5.4%, 2019년 16.2%의 가정폭력 상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언택트 추석’, ‘비대면 추석’ 등 신조어까지 생겨나는 상황에서 외출이 줄고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는 것은 가족 간 갈등이나 가정폭력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만큼,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정춘숙 의원은 “‘언택트 추석’이 가정폭력 문제 심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는 가정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등 대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고 밝혔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