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장성급 회담서 거론 관측…국방부는 “논의 안 했다” 부인
정부 관계자는 17일 “이번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에서는 장사정포 후방 배치와 해안포 철수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최근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이 정부에 북한 장사정포의 후방 철수 문제를 남북 군사회담에서 다뤄 달라고 제안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가 부인하긴 했지만 정황상 장사정포와 해안포 철수 문제가 남북 간 대화 의제로 오를 가능성은 다분하다. 이 문제를 제외하고 군사적 긴장 완화를 논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사 지난 14일 회담에서 이 문제가 논의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향후 회담에서는 논의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북한 장사정포를 군사분계선(MDL) 30~40㎞ 후방으로 철수할 수 있다면 수도권을 직접 타격할 수 있는 실질적 군사 위협이 제거되는 셈이다. MDL 북측 지역에는 1000여문의 각종 포가 배치돼 있는데 이 중 사거리 54㎞의 170㎜ 자주포 6개 대대와 사거리 60㎞의 240㎜ 방사포 10여개 대대 330여문이 수도권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고 군 당국은 평가하고 있다. 때문에 북한 장사정포는 늘 ‘서울 불바다’ 위협의 근원이 돼 왔으며, 그런 측면에서 핵보다 더 위험한 무기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각에선 북한의 장사정포 후방 배치와 해안포 철수 등을 요구하기 위해선 남측도 그에 상응하는 무력 철수 방안을 제시해야 하는 만큼 난항이 예상된다는 지적도 있다. 북측이 제기할 만한 남측 상응 전력으로는 전방에 배치된 사거리 40여㎞의 155㎜ K9 자주포와 사거리 80㎞의 차기 다연장로켓포(MLRS) ‘천무’, 주한 미 2시단 예하 210화력여단의 MLRS, 전술지대지 미사일(ATACMS), 신형 M1에이브럼스 전차 등이 꼽힌다.
일각에서는 한·미가 연합군사훈련을 중단하는 조건으로 북측에 장사정포와 해안포 철수를 요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또 6·12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측이 약속한 미사일 엔진 시험장 폐기 등도 군사적 긴장 완화 조치의 일환으로 거론되고 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8-06-1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