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난 몰라라…北, 김정일 생일 준비 한창

식량난 몰라라…北, 김정일 생일 준비 한창

입력 2011-02-09 00:00
업데이트 2011-02-09 09: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열악한 식량사정으로 외부지원에 목마른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2.16)을 앞두고 올해도 행사 준비에 분주하다.

 올해는 특히 김정은 후계체제가 시동을 건 상황이라 권력 누수를 막기 위해서라도 김 위원장의 생일을 성대하게 지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북한 매체들은 지난달 중순부터 일찌감치 김 위원장의 생일을 축하하는 행사 준비 소식을 알려왔다.

 평양방송은 1월13일 김 위원장의 생가인 백두산 밀영의 고향집으로 올해 첫 답사행군이 시작됐다면서 양강도에서만 수만 명의 중학교 졸업반 학생이 고향집으로 답사길에 나섰다고 전했다.

 백두산 밀영은 고(故) 김일성 주석의 항일투쟁 비밀근거지로,북한은 1942년 2월 김 위원장이 이곳에서 태어났다고 선전하고 있는데 전국 각 지역의 주민과 학생,군인이 김 위원장의 생일을 전후로 백두산 밀영 고향집을 다녀간다.

 북한은 또 이달 중순부터 평양을 포함해 각 도에서 ‘제15차 김정일화(花)축전’을 열기 위해 사전작업에 한창이다.

 또 보통강변의 빙상관에서는 ‘백두산상국제휘거(피겨)축전’이,평양 창광원 수영관에서는 ‘2.16경축 수중발레모범출연’이 열리고,전국 각지에서 경축공연과 체육경기대회가 마련되는 등 갖가지 기념행사가 줄을 잇는다.

 러시아와 인도,중국 등 해외에서도 예년과 같이 준비위원회를 결성해 문화행사를 마련한다고 북한 매체들은 전하고 있다.

 올해는 김 위원장이 69세 생일을 맞는 해라 65세나 70세 생일처럼 북한이 더 크게 기념하는 ‘꺾어지는 해’는 아니지만,김정은 후계체제가 출범한 와중임을 감안해 김 위원장의 건재를 더욱 과시하는 쪽으로 생일행사가 준비될 것으로 보인다.

 후계자에게로 권력 이양이 시작된 시기인 만큼 ‘레임덕’ 현상을 막기 위해서라도 ‘민족최대의 명절’로 지정된 김 위원장의 생일을 각별히 챙길 것이란 분석이다.

 대북매체 열린북한방송도 후계자 김정은이 책임을 지고 부친의 생일을 준비하고 있으며,생일을 기념해 열리는 ‘정일봉 축포행사’의 규모도 예년보다 커졌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대북매체 데일리NK는 김 위원장 생일 행사에 맞춰 후계자 김정은을 ‘띄우는’ 내용이 포함된 공연도 마련되고 있다고 전했다.

 중앙당의 지시에 따라 각 지방의 기업소와 공장 단위로 준비하는 축하공연에 ‘백두산 가문의 혈통을 이어받은 또 한 분의 위대한 선군영장을 모셨다’는 등의 내용이 들어간 것은 물론 ‘김정은 동지를 높이 받들어 선군 위업 완성하자’는 결의도 포함됐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생일을 레임덕 차단 기회로 활용하면서 한편으로는 후계자 김정은의 위상과 지위를 공고히 하는 기회로 삼는다는 전략인 셈이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9일 “김정은 후계체제는 김 위원장의 건재와 같이 가는 것이어서 김 위원장이 여전히 북한체제를 빈틈없이 통치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기 위해 예년보다 더 탄탄하게 생일 행사를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980년 후계자로 공식 등장한 김 위원장의 경우 1982년 40회 생일부터 공휴일로 지정됐으며,김 주석이 사망한 이듬해인 1995년부터는 김 주석의 생일과 함께 김 위원장의 생일도 ‘민족최대의 명절’로 정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