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고사 시행일, 찬반 입장 대결도 치열

일제고사 시행일, 찬반 입장 대결도 치열

입력 2011-07-12 00:00
업데이트 2011-07-12 1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교육청ㆍ교총 등 엇갈린 입장 엇갈려

12일 전국 초중고교에서 ‘2011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큰 마찰 없이 치러진 가운데 서울시교육청과 교원ㆍ학부모단체가 평가방식을 두고 상반된 의견을 내놨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오후 보도자료를 내고 “현행 방식의 학업성취도 평가가 초래하는 획일성과 ‘정답 중독증’을 심히 우려한다”며 “기초학력 도달 여부를 알고 싶다면 간소화된 학력평가를 실시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와 달리 별다른 대체프로그램 마련 등을 지시하지 않고 교육과학기술부의 평가지침을 사실상 그대로 준수, 이날 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서울지역 학생수는 29명에 그쳤다.

교육희망네트워크도 “일제고사의 취지가 부진아 지원이 아니라 학교와 학생을 시장에 내놓고 무한경쟁을 부추기려는 것”이라며 일제고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전날 전교조도 “4년째 치러지는 일제고사는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학업성취도를 저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반해 교총은 보도자료에서 “학력격차 해소 등을 위해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지난해 진보성향 일부 교육감이 교과부와 마찰을 빚었던 것과 달리 올해 큰 마찰 없이 무난히 치러져 그나마 다행”이라고 말했다.

교총은 “평가가 끝난 후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적 논쟁을 그냥 덮어두고 넘어가지 말고, 교과부, 시도교육청,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등이 참여하는 ‘교육협의체’를 구성, 학업성취도평가의 개선 및 안정적 정착방안 마련에 함께 나서자”고 제안했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모임도 “학업성취도 평가는 우리 학생들이 국가교육과정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학습했는지 진단하고 최소한의 기초학력을 보장하기 위한 평가”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