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순한 의도 없었다” 일베 자막 논란…워크맨 결국 징계

“불순한 의도 없었다” 일베 자막 논란…워크맨 결국 징계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0-03-14 14:41
업데이트 2020-03-14 14: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크맨 제작진 결국 징계 [해당 영상 캡처]
워크맨 제작진 결국 징계 [해당 영상 캡처]
스튜디오룰루랄라, 일베 자막 논란 제작진 징계

유튜브 인기 채널 ‘워크맨’이 일간베스트(일베) 용어를 사용했다는 논란이 가라앉지 않자 스튜디오룰루랄라는 결국 제작진을 징계하기로 했다.

JTBC의 디지털콘텐츠 제작을 담당하는 스튜디오룰루랄라는 지난 13일 ‘워크맨’ 유튜브 채널에 입장을 내고 “온라인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디지털 콘텐츠 제작진이 해당 자막으로 인한 파장을 예상치 못했다는 사실과 이런 상황을 야기한 관리 프로세스 자체에 큰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관리자와 제작진에 책임을 묻고 징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제작진에 따르면 ‘노무(勞務)’라는 자막을 사용하는 과정에 정치적 함의나 불순한 의도는 전혀 포함되지 않았으며, 제작진은 일베라는 특정 커뮤니티와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스튜디오룰루랄라는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제작 과정에 더욱 신중을 기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징계는 지난 12일 ‘워크맨’ 제작진이 내놓은 해명에 구독자들 반발이 가라앉지 않아 나온 조치로 보인다.

‘워크맨’ 시청자들은 이전에도 비슷한 논란이 여러 번 있었고, 제작진 해명에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며 항의의 표시로 채널 구독을 해지하기도 했다.

제작진은 ‘노무’라는 단어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희화화하는 극우 성향 사이트 일베의 용어라는 지적에 대해 “사전적 의미인 ‘노동과 관련된 사무’의 뜻으로 전달하고자 했다”며 “해당 단어를 특정 커뮤니티에서 정치적인 목적으로 사용 중이라는 사실은 전혀 인지하지 못한 상태였다”고 해명한 바 있다.

‘워크맨’은 JTBC 아나운서 출신 장성규가 일일 아르바이트생으로 일하면서 국내 다양한 직업 정보를 제공하는 웹 예능이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