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오면 잠기는 다리 새로 놓아주오-김용택 시인 고향 마을 주민들 호소

비만 오면 잠기는 다리 새로 놓아주오-김용택 시인 고향 마을 주민들 호소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입력 2020-08-16 15:07
업데이트 2020-08-16 16: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가 조금만 내려도 다리 잠겨 생계 위협
섬진강 국가하천으로 국가 차원서 건설해야

“비가 조금만 내려도 다리가 물에 잠겨 농사를 지을 수가 없습니다. 제발 제대로 된 교량 좀 새로 놓아주세요”

전북 임실군 덕치면 진뫼마을 주민들이 ‘장산 세월교’ 건설을 호소하고 있다.

진뫼마을은 ‘섬진강 시인’으로 잘 알려진 김용택(73) 시인의 고향이다. 섬진강댐 하류 첫 마을인 이곳은 22가구 35명의 주민들이 옹기종기 모여 살며 고추·독할·정원수 등을 재배하며 평화롭게 살아가는 전형적인 산골 동네다.

그러나 비가 내리면 수량이 급격히 불어나 교량이 물에 잠기는 바람에 강 건너 농경지에 갈 수 없게 된다. 섬진강댐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지역이다 보니 수위 조절을 위해 방류를 하면 다리가 물속으로 들어가 통행이 불가능하다. 교량 길이가 100m가 넘지만 높이가 낮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올해는 장마기간이 유난히 길어 이 마을 주민들은 한달이 넘도록 생명줄인 논과 밭을 찾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 마을 문경섭(51) 이장은 “이번 비에 자식처럼 정성들여 가꾸던 농작물들이 물에 잠겼지만 살펴보지도 못해 피해액 산정 조차 안되고 있다”로 “하루 빨리 제대로 된 교량을 건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세월교 하류 2.1㎞ 지점에 있는 물우교는 예전에는 자주 물에 잠겼지만 현대식 교량이 건설된 이후 많은 비가 내려도 끄떡 없어 진뫼마을 주민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하지만 섬진강은 전북도나 임실군이 관리할 수 없는 국가하천으로 교량도 국비로 건설해야 한다. 예산도 100여억원이나 소요된다.

주민들이 기회 있을 때 마다 교량 건설을 요구했지만 정부는 귀를 기울이지 않았고 사업비가 국가예산에 반영되지 못했다.

일부에서는 현재 교량이 주변 경관과 어울려 새 교량을 건설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의견도 제기했으나 이번 홍수 피해 발생 이후에는 “경관도 좋지만 일단 주민들이 먹고 사는 것이 우선”이라는 쪽으로 여론이 돌아섰다.
이미지 확대
심민 임실군수는 “진뫼마을은 섬진강댐 최인접 지역이어서 비만 오면 다리가 잠겨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 국가 하천인 만큼 국가가 나서 해결해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섬진강댐 하류 수해는 수자원공사 등 3개 공공기관의 물욕심과 부실한 물관리 때문에 발생한 ‘인재’로 이를 보상하는 차원에서라도 국가가 나서 하루 빨리 장산 세월교를 건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심 군수는 “1964년 호남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된 섬진강댐은 임실군 주민 1만 5000여명의 고향이 수몰되는 바람에 많은 애환을 남긴 시설이지만 아직도 순환도로 건설이 절반 밖에 되지 않았고 하류지역 교량 조차 부실해 아픔이 계속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을 호소했다.
이미지 확대
진뫼마을은 지난 8일 집중호우가 내려 하천수위가 크게 높아진 상황에 섬진강댐이 초당 1600여t의 방류수를 내려보내는 바람에 진뫼마을은 사상 최악의 물난리를 겪었다. 주택과 도로가 물에 잠기고 농경지가 유실돼 문전옥답은 자갈밭으로 변해버렸다.

주민들은 물이 빠지지 않아 4일 동안이나 고립됐다.

임실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