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 강요받은 비정규직, 정규직보다 ‘7.3배’ 많다

사직 강요받은 비정규직, 정규직보다 ‘7.3배’ 많다

손지민 기자
입력 2020-09-21 17:56
업데이트 2020-09-22 0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 시대 ‘노동현장 양극화’ 심화

이미지 확대
반토막 월급으로 다섯 달 버텼는데
실업급여 못 받고 쫓겨날 처지 놓여
비사무직 실직 경험, 사무직의 ‘3배’
코로나에 10명 중 4명 우울·불안 겪어

직장인 박인혜(이하 가명)씨는 코로나19 확산 초기였던 지난 3월 회사로부터 ‘매출이 감소했으니 연봉을 절반으로 깎겠다’는 통보를 받고 울며 겨자 먹기로 근로계약서를 다시 썼다. 반 토막 월급으로 다섯 달을 버틴 김씨에게 회사는 사정이 너무 어렵다며 지난달 사직서를 쓰라고 강요했다. 김씨는 “실업급여도 못 받고 쫓겨날 처지가 됐다”고 토로했다.

직장인 김현수(26)씨는 ‘코로나 블루’로 지난 6월부터 심리상담을 받았다. 김씨는 “코로나19로 취업이 어려워져 억지로 참고 회사에 다니다 보니 우울감이 심해졌다”면서 “코로나19로 모임이 다 취소되고, 재택근무로 집에만 있으니 기분이 더 무거워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지난 8개월 동안 직장인의 15.1%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 상황이 불안할수록, 임금이 적을수록 코로나19 충격이 컸다. 직장인의 정신 건강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코로나19에 따른 불안과 우울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연초보다 10% 포인트 이상 늘어난 수치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한 ‘코로나19와 직장생활 변화 3차 설문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된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19~55세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노동자들의 비자발적인 실직 경험은 취약계층에 집중됐다. 코로나19 확산 8개월간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실직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정규직 노동자는 31.3%로 정규직 4.3%와 비교해 7.3배에 달했다. 월 소득 150만원 미만인 저임금 노동자의 실직 경험 비율이 29.9%로,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인 고임금 노동자(3.3%)의 9.1배에 달했다. 비사무직의 실직 경험 비율(22.6%)은 사무직(7.6%)의 3.0배였고, 여성(20.0%)의 실직 경험이 남성(11.4%)의 1.8배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불안감·우울감을 느끼는 ‘코로나 블루’도 심화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감이 심각하다’는 직장인은 전체의 40.0%로 지난 4월 1차 조사(25.9%), 지난 6월 2차 조사(32.8%)와 비교해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우울감이 심각하다는 응답도 19.2%로 1차 조사(12.6%)와 2차 조사(14.4%)보다 높아졌다.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2020-09-22 1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