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지원금 풀려도 사람이 없어요”… 전통시장 한숨

“2차 지원금 풀려도 사람이 없어요”… 전통시장 한숨

강원식, 이천열 기자
입력 2020-09-27 20:38
업데이트 2020-09-28 06: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가위 특수 사라져 상인들 막막

이미지 확대
강서구 전통시장 소독
강서구 전통시장 소독 코로나19가 재확산 되는 가운데 강서구가 추석 명절을 맞아 재래시장에 대한 소독과 방역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강서구는 추석 연휴에 앞서 재래시장에서 다양한 할인과 경품 이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강서구 제공
차례 안 지내는 집 늘어 제수품 매출 뚝
코로나 이전보다 단골들 발길 50% 줄어

“추석 대목요? 코로나19로 사라졌어요. 사람이 잘 나오지 않아요.”

코로나19 재확산이 우리 최대 명절인 추석의 표정을 확 바꾸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이동이나 외출을 꺼리는 시민이 늘면서 한가위 특수를 바라던 지역 전통시장 상인들의 한숨이 커지고 있다. 정부의 2차 재난지원금 지급에 따른 효과도 미미할 것으로 현장에서는 전망했다.

지난 26일 오후 경남 창원시 성산구 반송시장은 채소나 과일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간간이 보이기는 했지만 예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였다. 생선가게 주인 김모(50대·여)씨는 “올 추석에는 차례를 지내지 않거나 가족 모임을 취소한 사람들이 늘면서 생선이나 과일을 사는 양도 크게 줄었다”면서 “올해는 명절 특수도 없고 장사가 틀렸다”고 한숨을 쉬었다. 시장에서 30년 넘게 채소가게를 하고 있다는 박찬수(71)씨는 “2차 재난지원금을 주면 전통시장에도 당장은 조금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외출과 모임이 완화되지 않으면 전통시장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창원시 성산구 가음정동의 가음정전통시장도 분위기는 비슷했다. 상인들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해 시장에 나오는 사람들이 50% 넘게 줄어 이전 설·추석 명절이 그립다고 입을 모았다.

가음정시장을 18년 넘게 지키고 있는 한 생선가게 주인(56·여)은 “단골손님들이 ‘외지에 살고 있는 가족들이 모이지 않기 때문에 시장에 나올 일이 없다’고 한다”면서 “재난지원금을 주면 전통시장에도 조금은 도움이 되겠지만 큰 기대는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전 대덕구 오정동 농수산물시장도 상황은 비슷했다. 이 수산시장에는 횟집 4곳, 해산물 도소매 가게 44곳, 건어물 가게 13곳이 문을 열고 장사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집밥이 늘면서 횟집은 타격이 크지 않지만, 학교급식과 민간회사·관공서 구매식당에 식자재를 납품하는 해산물 가게와 노래방 등에 안주를 공급하는 건어물 가게는 도매에서 타격이 크다.

해산물 도소매 가게 주인인 김만식(65)씨는 “가게 대부분이 도매 매출액의 3분의1쯤이 날아갔다”고 했다. 이어 그는 “2차 재난지원금 지급 통보는 아직 받지 못했다. 여기 상인들 다 마찬가지”라며 “돈 100만원에 크게 나아지기야 하겠느냐. 잠깐 기분 좋고 숨통 트이는 정도지”라고 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20-09-28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