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63표’… 세계가 놀라다

‘평창 63표’… 세계가 놀라다

입력 2011-07-07 00:00
업데이트 2011-07-07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8년 동계올림픽 삼수 만에 유치

강원 평창의 오랜 꿈이 마침내 이뤄졌다. 동계올림픽 유치에 세 번째 도전한 평창이 2018년 개최지로 최종 확정됐다.

평창은 6일 오후 5시(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의 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제123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유효투표수 95표 가운데 63표를 획득, 강력한 라이벌로 점쳐졌던 독일 뮌헨(25표)을 가볍게 제치고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다. 프랑스 안시는 7표 득표에 그쳤다.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로 올림픽(하계 포함)을 유치한 것은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유치전이 벌어졌던 1995년 이후 16년 만에 처음이다.

이미지 확대
이로써 평창은 2010년과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전에서 캐나다 밴쿠버와 러시아 소치에 거푸 패한 앙금을 말끔히 씻어내고 2전3기의 쾌거를 이뤄냈다. 한국이 동계올림픽을 개최하는 것은 사상 처음이다. 1998년 일본 나가노올림픽 이후 20년 만에 아시아에서 두번째로 동계올림픽을 개최하는 국가가 됐다. 또 한국은 프랑스·미국·독일·이탈리아·일본·캐나다·러시아에 이어 동·하계올림픽을 모두 유치한 여덟번째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과 세계육상선수권을 포함한 세계 4대 스포츠를 모두 유치한 국가로는 여섯번째다.



투표에 앞서 진행된 최종 프레젠테이션에서 나승연 유치위 대변인, 조양호 유치위원장, 이명박 대통령, 김진선 특임대사, ‘피겨퀸’ 김연아, 문대성 IOC 위원, 박용성 대한체육회장, 토비 도슨 등 8명이 차례로 나서 ‘꿈과 희망’의 메시지를 강조하며 지지를 당부했다. 평창유치위원회는 강원도민을 포함한 우리 국민의 뜨거운 유치 열망과 아시아 동계스포츠 발전 명분을 주요 승인으로 꼽았다.

이날 총회 회의장에서는 팽팽한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단상에 선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이 개최 도시 이름이 담긴 봉투를 열고 개최지로 “평창”을 호명했다. 기도하는 마음으로 두손 모아 숨죽이던 평창유치위원회 대표단은 “평창 만세”를 외치며 서로 부둥켜안은 채 감격에 겨워했다. 배수진을 치고 유치에 밤잠을 설쳐 온 유치단은 만감이 교차한 듯 흐르는 눈물을 주체하지 못했다.

더반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1-07-07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