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칙’ NC vs ‘원칙’ 두산… ‘수비의 철칙’은 없다

‘변칙’ NC vs ‘원칙’ 두산… ‘수비의 철칙’은 없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0-11-19 22:32
업데이트 2020-11-20 0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시리즈서 더 대비되는 수비 전략

NC, 데이터 기반 극단 시프트 적극 활용
볼카운트마다 변경도… “타자 성향 고려”

두산, 원래 위치 선호… 2차전서 병살 수확
상대 시프트엔 “타자가 알아서 판단할 것”

이미지 확대
지난 18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NC 다이노스와 두산 베어스의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두산이 5-1로 앞선 9회 초 오재일의 타석 때 NC 내야진이 수비 위치를 오른쪽으로 옮겨 오재일의 타구에 대비하고 있다(왼쪽). 오른쪽 사진은 두산이 이날 경기에서 시프트 없이 정위치에서 수비를 준비하는 모습.
지난 18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NC 다이노스와 두산 베어스의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두산이 5-1로 앞선 9회 초 오재일의 타석 때 NC 내야진이 수비 위치를 오른쪽으로 옮겨 오재일의 타구에 대비하고 있다(왼쪽). 오른쪽 사진은 두산이 이날 경기에서 시프트 없이 정위치에서 수비를 준비하는 모습.
단기전에서 수비의 중요성은 말할 것도 없다. 답답하던 흐름이 좋은 수비로 살아나기도, 상대의 좋은 흐름이 좋은 수비로 끊기기도 한다. 2020 한국시리즈(KS·7전4승제)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18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KS 2차전은 수비가 어떻게 흐름을 바꾸는지 보여 줬다. 점수를 내기 위해 NC 다이노스 주자들이 바쁘게 움직였지만 두산 베어스는 5번의 더블 아웃으로 상대 흐름을 끊고 5-4로 승리했다.

두산 유격수 김재호는 “게임이 넘어갈 수 있는 타구가 3개 나왔는데 그걸 병살로 잡고 흐름을 끊으면서 승리할 수 있는 발판이 됐다”고 돌이켰다.

최소 실책 2위 두산과 3위 NC의 맞대결인 만큼 두 팀의 수비 전쟁은 치열하다. 흥미로운 사실은 감독의 성향과 팀 컬러에 따라 서로 다른 스타일의 수비를 선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NC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비 시프트를 적극 사용한다. KS에서 NC는 오재일과 김재환의 타석 때 1·2루 사이에 내야수를 한 명 더 배치했다. 볼 카운트에 따라 위치를 세밀하게 바꿔 화제가 됐다. 이동욱 NC 감독은 “데이터팀과 상의해 준비했다”고 밝혔다.

그렇다고 NC가 무조건 시프트를 쓰는 건 아니다. 2차전에서도 선발 구창모가 던질 땐 시프트가 없었다. 이 감독은 “구창모는 볼 배합이 원래 수비 위치에서 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했고, 임정호는 상대 타자가 히팅을 할 수밖에 없어 시프트를 걸었다”고 자세한 설명을 곁들였다.

반면 두산은 시프트 대신 선수들이 원래 위치에서 수비하는 경향이 강하다. 2차전 병살 중에 김재호의 점프 캐치, 허경민의 직선타 처리 등은 시프트가 아닌 원래 자리를 지키다가 나온 플레이다.

김태형 두산 감독은 상대 수비 시프트에 대해 “타자들이 알아서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이번 KS에서 “상대가 잘 치면 할 수 없다”, “타격감 좋은 선수를 앞에 배치했을 뿐 타순에 큰 의미는 없다”는 등 쿨한 모습을 보이는 감독의 성향이 수비에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김정준 SBS 스포츠 해설위원은 19일 “시프트는 가장 확률이 높은 쪽을 선택하는 것”이라며 “상대 타자를 압박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그러나 단기전에서는 타자도 변화를 갖고 들어오고 한국 선수들은 팀 배팅을 많이 하기 때문에 변수가 생길 수 있다”며 “시프트는 감독과 팀의 결정에 따라 다르다. 시프트를 하지 않아도 그만한 수비 효과와 범위를 갖고 있으면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 사진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20-11-20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